"OTT 이용률 77%…유튜브·넷플릭스 順"

방통위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주 5일 이상 TV 보는 20대 고작 30%
OTT 이용 50대는 전년 대비 10.8%p↑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이용률이 올해 77.0%로 늘어났으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OTT는 유튜브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전국 4633가구에 거주하는 만 13세 이상 남녀 70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OTT 이용률은 77.0%로 지난해보다 5.0%포인트 늘었다. 연령별로는 20대(97.8%)와 10대(97.6%)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다. 50대도 81.0%로 전년 대비 10.8%포인트 증가했다. 60대(61.0%)와 70세 이상(23.2%)도 전년 대비 각각 6.6%포인트 6.9%포인트 상승했다.

자료=방송통신위원회

자료=방송통신위원회

원본보기 아이콘

OTT는 스마트폰 시청이 86.3%로, TV수상기(22.1%) 보다 4배가량 많았다. 주로 이용하는 OTT는 유튜브가 71.0%로 가장 많았고 넷플릭스 35.7%, 티빙과 쿠팡플레이가 9.1%와 6.3% 순이었다.

스마트폰은 고연령대를 중심으로 보급이 늘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60대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96.2%, 70세 이상은 66.5%로 전년 대비 각각 2.4%포인트, 7.3%포인트 증가했다. 10~50대의 보유율은 99% 이상으로 포화상태였다. 전 연령대의 보유율은 94.8%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늘었다. 고연령대가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도 증가세다. 60대는 최근 3년간 그 수치가 꾸준히 증가해 48.0%로 집계됐으며 70세 이상은 19.6%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증가했다.


일상생활 필수 매체로는 스마트폰이 70.0%, TV는 27.2%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데스크톱·노트북, 라디오, 신문 등을 필수 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은 2% 미만으로 전년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은 늘어난 반면, TV 이용 빈도는 줄었다. 주5일 이상 스마트폰을 이용한다는 응답은 91.4%였으며, TV(71.4%)는 전년 대비 감소했다. 특히 20대와 30대의 주 5일 이상 TV 이용률은 각각 29.8%와 55.2%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이상씩 감소했다.

자료=방송통신위원회

자료=방송통신위원회

원본보기 아이콘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보고서는 방통위 홈페이지와 방송통계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