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조리하고, AI로 건강 체크까지"…삼성웰스토리, 미래형 사내식당 도입

분당 본사에 '플래그십 스페이스' 개설
급식 서비스 전 과정에 개인화·자동화·지능화 적용

삼성웰스토리는 급식 서비스 전 과정에 개인화, 자동화, 지능화된 솔루션을 적용해 미래형 사내식당을 구현한 '플래그십 스페이스'를 경기 성남시 분당구 본사에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웰스토리가 경기 성남시 분당구 본사에 마련한 미래형 사내식당 '플래그십 스페이스' 조리시설[사진제공=삼성웰스토리]

삼성웰스토리가 경기 성남시 분당구 본사에 마련한 미래형 사내식당 '플래그십 스페이스' 조리시설[사진제공=삼성웰스토리]

원본보기 아이콘

플래그십 스페이스는 조리로봇이 음식을 만드는 '웰리봇 존', 무인 자동결제 형태로 간편식을 제공하는 '피키피커스 마켓', 취식 및 건강 데이터를 바탕으로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웰핏라운지', 다양한 푸드테크 기술을 테스트하는 '오픈랩' 등의 공간으로 구성됐다.

웰리봇 존은 삼성웰스토리가 지난 5월 업계 최초로 개발한 국·탕·찌개류 조리로봇에 이어 튀김·누들 전용 조리로봇과 볶음요리 전용 오토웍이 추가로 적용된 조리로봇 전문 코너다.


웰리봇 존의 조리로봇은 단체급식에 최적화된 로보틱스 기술을 적용해 10초당 1개의 메뉴를 만들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조리원 인력난 문제 해소와 함께 단체급식의 외식화를 구현한 고품질 식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피키피커스 마켓은 무인 자동결제 솔루션이 적용된 간편식 코너로, AI에 기반한 비전 인식 솔루션을 통해 고객이 선택하는 간편식 제품을 자동으로 추적하고 데이터화한다.

삼성웰스토리는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제품 선호도를 파악해 품절을 사전 방지하고 고객 특성에 맞는 제품군을 분석해 고객 니즈에 부합한 간편식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웰핏라운지는 사내식당 이용 고객의 취식 데이터와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양 코칭 전문가가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고객들은 웰핏라운지에서 골격근, 체지방 등 20가지의 체성분뿐 아니라 딥러닝 AI 기술을 활용해 색소 침착, 주름 등 7가지 항목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전정 기관의 흔들림 촬영을 통해 불안, 스트레스 등 13가지 항목의 정신건강 상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한 건강 데이터와 사내식당 취식 데이터는 삼성웰스토리의 스마트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연동되고 이를 기반으로 영양 코칭 전문가가 맞춤형 식단 추천, 식생활 코칭, 운동 추천 등 1:1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삼성웰스토리는 이번 플래그십 스페이스를 통해 급식 비즈니스에 미래형 운영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다양한 사업장에 확산시켜 나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삼성웰스토리 관계자는 "사내식당은 이제 노동집약적인 형태로 운영되는 과거의 모델이 아닌 자동화, 지능화된 형태로 빠르게 변화해가고 있다"며 "단순히 한 끼 식사를 해결하는 장소가 아닌 고객 개개인의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까지도 제공하는 진화된 형태의 급식 운영모델을 통해 미래형 급식모델의 표준을 제시하며 선도해가겠다"고 전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