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글씨 '이갈이' 용산 곳곳 기괴한 낙서…美30대 남성이었다

스프레이와 페인트, 특수 펜 등 이용해 낙서
"그라피티 아트…이갈이 경각심 주려고 했다"

서울 용산구 일대 150여곳에 빨간 글씨로 '이갈이'라는 낙서를 한 30대 미국인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27일 서울 용산경찰서는 용산구 일대의 주택 대문, 굴다리, 쓰레기통, 도로 노면, 전봇대, 상점 셔터 등 155곳에 낙서한 혐의(재물손괴 등)로 A씨를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27일 서울 용산경찰서는 용산구 일대의 주택 대문, 굴다리, 쓰레기통, 도로 노면, 전봇대, 상점 셔터 등 155곳에 낙서한 혐의(재물손괴 등)로 A씨를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용산경찰서]

27일 서울 용산경찰서는 용산구 일대의 주택 대문, 굴다리, 쓰레기통, 도로 노면, 전봇대, 상점 셔터 등 155곳에 낙서한 혐의(재물손괴 등)로 A씨를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용산경찰서]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 10월 관광차 한국에 온 A씨는 곳곳을 돌아다니며 래커 스프레이 페인트와 특수 펜 등을 이용해 '이갈이', 'bruxism'(미국 의학용어로 '이갈이'라는 뜻), 'brux' 등 한글과 영어를 섞어 마구잡이 낙서를 했다.


그는 지난해 10월에도 입국해 같은 범행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SNS 등에 자신을 '이갈이'라고 지칭하며, 자신의 낙서를 사진과 영상으로 찍어 공유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 10월에도 입국해 같은 범행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SNS 등에 자신을 '이갈이'라고 지칭하며, 자신의 낙서를 사진과 영상으로 찍어 공유하기도 했다.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그는 지난해 10월에도 입국해 같은 범행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SNS 등에 자신을 '이갈이'라고 지칭하며, 자신의 낙서를 사진과 영상으로 찍어 공유하기도 했다.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원본보기 아이콘

경찰은 폐쇄회로(CC)TV 추적 등을 통해 A씨를 특정해 지난달 25일 검거했다. A씨는 현재 출국 정지된 뒤 불구속 상태로 수사받고 있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나의 행위는 그라피티 아트이다. 일종의 예술 행위"라고 주장했다. 또 "평소 이를 많이 갈고, 이갈이는 심각한 질병이라서 경각심을 주기 위해 이런 일을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A씨를 상대로 명확한 범행 동기와 경위를 파악할 방침이다.


한편, 미국을 비롯해 국내에선 '그라피티 아트'를 범죄 혐의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경미한 범죄를 방치하면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깨진 유리창 이론'에 입각한 것이다.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 Theory)은 미국의 범죄학자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이 발표한 것으로,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하기 시작한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경찰은 그라피티 행위를 형법상 재물손괴죄 및 건조물침입죄에 해당하는 범죄로 판단해 엄정하게 처벌하고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