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北 동향 빈틈없이 감시… 확고한 군사대비 유지하라"

尹, 귀국 후 첫 공식일정으로 국방장관·합참의장으로부터 보고 받아
北 DMZ 내 GP에 병력·장비 투입… 국방부 "만반의 준비 갖춰 나갈 것"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귀국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부터 9·19 남북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 조치 이후 북한 동향 등 안보 상황 관련 보고를 받았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같은 보고를 받은 뒤 "북한의 동향을 빈틈없이 감시하면서 우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라"고 지시했다고 이도운 대변인이 전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은 전날 한 방송에 출연, "9·19 남북 군사합의 일부 효력 정지는 2000만 우리 수도권 국민들을 지키기 위한 조치"라는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9·19 합의를 업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제가 보기엔 많지 않을 것 같고 저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9·19 합의는 우리에게 굉장히 불리한 합의로 일부 효력 정지는 합의 중 우리가 감시 정찰 활동을 못 하도록 한 것을 다시 할 수 있게 복원한 것이 핵심"이라고 부연했다.


특히 "북한은 핵무기 말고도 장사정포로 전 수도권을 사정거리에 넣고 있다"며 "우리 군은 장사정포를 상시 감시하고 타격 조짐이 보이면 바로 대항할 수 있게 준비해놨었는데, (9·19) 합의 때문에 그걸 못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9·19 합의 일부 효력 정지가 위기를 조장한다는 지적에 따른 답변으로 "최소한의 순수 방어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북한 역시 추가 대응에 나서는 모양새다. 군 당국은 이날 북한군이 9·19 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한 비무장지대(DMZ) 내 GP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하고 감시소를 설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군 감시 장비로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군이 공개한 사진에는 ▲북한군 병력이 감시소를 설치하는 장면 ▲진지에 무반동총으로 추정되는 중화기를 배치하는 장면 ▲병력이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장면 등이 담겼다.

국방부는 입장자료를 통해 "11월 24일부터 일부 군사조치에 대한 복원 조치를 감행 중"이라며 파괴 및 철수 GP 11개소에 근무자를 투입하고 임시초소를 설치하고 중화기를 반입했으며, 서해 해안포 포문 개방을 늘리고 있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북한의 이런 복원 조치에 대해 "대응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