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따라오는 日…출생아 올해도 최저 경신 5%↓

민간 연구소 "8년 연속 감소" 전망
1∼9월 출생아·혼인 건수 작년보다 줄어

인구 감소와 고령화를 겪고 있는 일본에서 올해 출생아 수가 8년 연속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민간 연구소인 일본종합연구소는 지난 1월 이후 인구동태통계를 근거로 올해 출생아 수가 작년보다 5.5% 감소한 72만 9000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어린이들[사진=EPA 연합뉴스]

일본 어린이들[사진=EPA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일본 출생아 수는 2015년 전년 대비 2000명가량 늘어난 후 줄곧 줄어들어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70만 명대로 떨어졌다. 전망치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출생아 수는 8년 연속 감소며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게 된다.

일본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1.26명이었는데, 이 역시 지난해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올해 1~9월 외국인을 포함한 출생아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감소한 56만9656명으로 집계됐다고 전날 발표했다. 같은 기간 혼인 건수는 작년 동기 대비 4.4% 감소한 36만5478건이었다.


닛케이는 "코로나19로 남녀가 만날 기회가 줄고, 경제 저성장이 이어지며 아이를 낳아 기를 의욕이 고조되지 않는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일본에서 저출산 현상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돼 젊은 층의 사회보장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후생노동성의 자료에 따르면 35~39세가 내는 연간 평균 의료보험료는 2000년도 20만5000엔(약 179만원)에서 2020년 30만8000엔(약 269만원)으로 급증했다. 또, 75~79세가 내는 연간 의료보험료는 2000년도 7만4000엔(약 65만원)에서 2020년도 8만5000엔(약 74만원)으로 증가했다.


한편, 한국의 저출산 문제는 일본보다 심각하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소진 기자 adsurd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