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보고 있나'…美 바이든, 브라질 룰라와 정상회담

근로자 권리 증진·기후 대응 공조키로
룰라 '맞춤형 의제'로 美·브라질 결속 강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근로자 권리 증진 및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양국 정상은 20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중인 뉴욕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근로자 권리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를 통해 에너지 전환을 통한 일자리 창출, 근로자 노동권 교육 등 공동 행동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운송 서비스와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등과 같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근로자의 권리 및 직업 안정성 보장을 위해 공조키로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서반구에서 가장 큰 두 민주주의 국가가 인권 옹호를 위해 서 있다"며 "여기에는 노동자의 권리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룰라 대통령은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다면서 "우리의 새로운 이니셔티브가 근로자 가족에게 희망을 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양국이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서로 친구처럼 대하길 희망한다"며 "우리가 여기서 구축하는 동등한 파트너십은 두 나라 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국의 이니셔티브엔 강제 노동, 아동 노동력 착취, 여성과 성소수자에 대한 직장 내 차별 문제 등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지출처=AFP연합뉴스]

[이미지출처=AF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정상회담은 브라질이 주요 교역국인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행보를 보이는 가운데 이뤄졌다. 앞서 룰라 브라질 대통령은 지난 4월 대규모 경제인 대표단을 이끌고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다자주의 강화에 협력키로 했다. 올 2월 워싱턴DC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지 두 달 만이다.


이 때문에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노조위원장 출신'인 룰라 대통령에게 맞춘 의제를 던짐으로써, 브라질을 미국 쪽으로 좀 더 결속시키려는 의도를 내비쳤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