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건강]눈에 점이 생겼는데…모양에 따라 치료법 달라

눈에 생긴 점은 피부 점처럼 조직 속의 멜라닌 세포가 활성화돼 검거나 어둡게 보이는 것으로 안질환의 일종이다. 몸에 위해는 없어 대체로 미용 목적으로 제거를 한다. 대표적 질환으로는 결막모반, 오타모반, 군날개 등이 있다. 차흥원 김안과병원 각막센터 전문의는 “각 질환마다 원인, 위치, 치료법이 다르므로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치료받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눈 이미지

눈 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

결막모반은 눈의 흰자위를 덮고 있는 결막 상피층에 생기는 점으로 흰자위에 넓게 퍼져 옅은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나타난다. 눈 기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의학적 치료는 필요 없지만, 미용상 문제가 된다면 레이저, 약물치료 등으로 제거한다. 드물게 악성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모양, 크기 및 색의 변화 등 증상에 따라 수술적 절제 및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오타모반은 결막모반과 점이 생기는 위치가 다르다. 눈의 흰자위 안쪽인 공막에 점이 생기는 것으로 모반에 결막이 덮여 푸른색으로 보인다. 유전성은 없으며 역시 미용상 이유로 수술 치료한다. 결막에 생긴 모반은 제거해도 결막조직이 재생되어 깨끗하게 치료할 수 있지만, 오타모반은 더 안쪽 공막에 색소가 자리하고 있어 제거가 좀 더 복잡하다. 차흥원 전문의는 “조기에 치료할 필요는 없으며 안구가 완전히 자라는 6세 이후부터 수술이 가능하나 어린 나이에는 전신마취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국소마취 후 수술을 진행할 수 있는 성인 이후에 수술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익상편이라고도 불리는 군날개는 눈동자의 흰자위에서 각막 쪽으로 섬유혈관 조직이 증식해 검은 눈동자가 삼각형 모양으로 하얗게 변하는 질환이다. 보통 나이가 많을수록 유병률이 높고,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통상 야외활동이 잦은 사람들에게서 많이 생기기 때문에 강한 자외선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추측된다. 크기가 너무 커질 경우 수술이 필요하고 만 60세 이전에 수술을 받으면 재발률이 40~50%로 높은 편이다. 각막 침범 정도에 따라 수술시기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