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협회, 'PFAS 규제 철회' EU에 의견서…"中과는 실용적 접근"

올해 2월 회장단 출범 후 첫 기자간담회

한국배터리산업협회가 유럽연합(EU) 당국에 '과불화화합물(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PFAS) 규제를 철회 또는 유예해달라'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한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부회장은 올해 2월 협회 회장단 출범 후 지난 9일 개최한 첫 기자간담회에서 “지난달 ‘규제가 과도한 측면이 있고 배터리 거래 시장 등에서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의견서를 EU 배터리협회 ‘RECHARGE’에 제출했다”며 “유럽 당국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기반을 마련하는 차원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여기에 추가해 EU 당국에도 별도로 협회 의견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했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부회장 [사진제공=한국배터리산업협회]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부회장 [사진제공=한국배터리산업협회]

원본보기 아이콘

PFAS는 리튬이온배터리 등에 사용되는 유기화합물을 말한다. 물이나 기름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특성이 있어 산업계 전반에 활용된다. 다만 자연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인체에서도 잘 배출되지 않아 ‘영원한 화학물질’로도 불린다. 유럽화학물질청(ECHA)은 지난 3월 PFAS 제한보고서를 제안했고 다음달까지 이해관계자 의견을 접수한다.


박 부회장은 한중 합작사 설립과 관련해 미국과 유럽 규제에 맞설 ‘협력의 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 부회장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해외우려집단(FEOC) 규제가 어떤 방향으로 구체화될지 예단하기 어려워 업계와 정책 당국 모두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면서 “불확실성이 남아있지만 우리도 마냥 기다릴 순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각 기업 경영목표에 맞게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며 “중국과 공급망 구축이 불가피하다면 우선 협력을 진행하고 추후 FEOC 가이드라인에 맞게 리스크 관리를 하는 등 실용적이고 유연한 접근이 필요할 것 같다”고 했다.

협회는 앞서 지난 6월 미국 재무부에 IRA 관련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했다. 박 부회장은 “미국 정부에 전달한 IRA의견서에 중국 합작사 지분율 완화를 요구하는 내용을 담지는 않았다”며 “다만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의 복잡성을 고려해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규정보다 실용적이고 유연한 접근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박 부회장은 일본 배터리협회와 협력을 강화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한일관계 화해무드 속 파나소닉 등 일본 배터리 업체와 교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양자 채널 협의는 아직 하지 않았지만 필요성은 크다고 본다”며 “일본과 전구체나 광물 가공 물품 쪽으로 협력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했다.

박태성 부회장이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본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제공=배터리산업협회]

박태성 부회장이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본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제공=배터리산업협회]

원본보기 아이콘

박 부회장은 한일 상호 협력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미국 IRA나 EU의 각종 배터리 규제에 대해 한·일 양국 입장이 유사한 점, 미국에서 한국기업과 일본기업 간 합작 투자가 진행되는 점, 핵심광물 등 공급망에 대한 협력 수요가 큰 점을 꼽았다.


그는 “올 하반기부터 일본 배터리협회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미팅을 구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미국 IRA와 EU의 배터리법안 관련 통상과 공급망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