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가 민원처리반 됐다"…분노한 교사들 5000명 결집시위

서이초 교사 죽음…대책마련 촉구
"교권 넘어 생존권 위기"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 교사와 교대생 약 5000명이 모였다.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2년 차 교사 A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에 분노한 전국 각지 전·현직 교사와 교대생들이 검은 옷과 마스크 차림으로 집결했다.


교사들은 차례로 연단에 올라 A씨를 추모하는 한편 교권 침해 실태를 고발하고 진상 규명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연단에 오른 이들의 발언을 들으며 눈물을 닦는 참가자들도 곳곳에 보였다.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인근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인근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경기도에 근무 중인 2년 차 교사는 "오늘 자발적으로 생존권이라는 중요한 주제로 한자리에 모였다"며 "교사 커뮤니티에는 악성 학부모 민원에 대한 글이 넘쳐난다. 언젠가 나도 당할 수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이어 "퇴근 시간 이후 학부모에게 전화가 와도 상담이라는 이유로 새로운 업무가 시작된다"며 "문제의 본질은 25명의 아이와 학부모를 교사 한 명이 담당해야 하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교사는 "민원이 필터 없이 바로 교사에게 꽂히는 시스템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교사가 민원 처리반이 되어버린 지 오래"라고 토로했다.


이날 집회는 이번 사건으로 구성된 자발적 교사 모임인 공교육비상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조직했다. 대책위는 "이번 일이 분노와 슬픔이라는 감정으로만 끝나지 않길 바란다"며 "연대를 통해 교사들의 권리를 찾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자"고 주장했다.

또 "현장의 교사들은 학부모에 의한 무차별적 폭언 등 생명과 직결되는 위협에 노출돼 있다"며 "교사 생존권 보장에 대한 교육부의 대처방안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발언이 끝난 후 참가자들은 다 같이 '진상규명 촉구한다', '교사의 생존권을 보장하라', '교사의 교육권을 보장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이들의 손에는 '교사 생존권 보장'이라는 손팻말이 들려 있었다. 일선 교육 현장에서 체감하는 위기가 교권이 아닌 생존권 차원이라는 호소였다.


당초 집회에 앞서 실시한 참여여부 사전 조사에서는 약 2000명이 참여할 것으로 파악됐지만, 현장에는 갑절이 넘는 5000명의 참가자(주최 측 추산)가 모였다. 보신각 일대가 꽉 차 도로 건너편 인도까지 인파가 몰리자 경찰은 보신각 앞 도로 2개 차로를 추가로 내줬다.





이소진 기자 adsurd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