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톱·공유기·AI스피커 한번에… 지니TV 올인원 사운드바

고화질·고음질 콘텐츠 감상

인터넷TV(IPTV) 셋톱박스에 무선 공유기와 AI스피커까지 탑재했다. 3개 단말을 하나로 합치고 콘텐츠 화질·음질을 끌어올려 고품질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23일 KT가 지난달 출시한 '지니 TV 올인원 사운드바'를 체험했다. 올인원 사운드바의 특징은 3in1 올인원, 고음질, 고화질이다. 셋톱박스에 무선 공유기까지 2개의 메인 CPU를 넣어 설계했고, AI스피커 역할도 한다. 단말 3개를 하나로 합치면서 복잡하게 엉킨 전선을 1개로 통일해 TV 주변이 한결 깔끔해진다. 세계적 디자인상 '2023 iF 디자인 어워드', '2023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를 받은 깔끔한 디자인으로 실내 인테리어와도 조화롭다.

KT 관계자가 지니TV 올인원 사운드바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KT]

KT 관계자가 지니TV 올인원 사운드바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KT]

원본보기 아이콘

이날 시연 행사는 화질 체험존과 사운드 체험존으로 구성됐다. 우선 화질을 비교했다. TV 브랜드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별로 지원하는 기술이 다르다. 사운드바는 돌비 비전과 HDR10+를 모두 지원한다. 돌비 비전을 지원하는 LG전자 TV와 넷플릭스, 디즈니 등 해외 OTT 이용자, HDR10+를 지원하는 삼성전자 TV와 티빙, 왓챠 등 국내 OTT 이용자 모두 만족할만한 시청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이를 보여주기 위해 국내 양대 가전 브랜드인 삼성전자와 LG전자의 TV에 각각 셋톱박스를 설치했다.

먼저 삼성 TV로 HDR10+가 적용된 콘텐츠를 봤다. 기본 UHD 화면은 색감이 다소 붉게 나오고, 흐린 하늘과 등장인물의 흰옷이 거의 같은 색상으로 보였다. 셋톱박스를 연결한 화면에서는 배우 얼굴이 더 화사하고, 사물 경계선이 선명하게 보였다. 같은 색상으로 보이던 흐린 하늘과 흰옷도 명확하게 구분됐다. 이어 LG TV로 돌비 비전이 적용된 콘텐츠를 시청했다. 우주를 촬영한 영상에서 기본 UHD 화면은 물감이 번지듯 색감이 뭉개져서 보였다. 그러나 셋톱박스를 연결하자 중앙부, 주변부 색감이 선명하게 보였다.


다만 HDR10+와 돌비 비전은 실시간 방송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주문형 비디오(VOD)나 OTT를 볼 때만 화질 개선을 체험할 수 있다. 또 기본적으로 TV가 HDR10+나 돌비 비전을 제공해야 해 5년 이상 된 구형 TV면 해당하지 않는다.

지니TV 올인원 사운드바를 적용한 화면(오른쪽)과 기본 화면(왼쪽) [사진제공=KT]

지니TV 올인원 사운드바를 적용한 화면(오른쪽)과 기본 화면(왼쪽) [사진제공=KT]

원본보기 아이콘

그러나 음질 개선 효과만으로도 셋톱박스 교체를 고려할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KT는 올인원 사운드바에 명품 오디오 브랜드 '하만카돈' 스피커와 3D 서라운드 사운드 기술 '돌비 애트모스'를 탑재했다. 또 KT가 자체 개발한 '보이스 부스트' 기술도 적용했다. 목소리에 맞는 주파수 대역폭만 강조해 배경음은 완화하고 대사는 더 잘 들린다. 보이스 부스트 기능은 OTT, VOD, 실시간 방송 모두 적용된다. 구형 TV도 돌비 애트모스와 보이스 부스트를 체험할 수 있다.


디즈니플러스의 '카지노'를 보이스 부스트 기술을 적용해 감상했는데, 볼륨을 높인 것처럼 소리가 또렷하고 입체적으로 들렸다. 또 돌비 애트모스를 적용한 넷플릭스의 'F1, 본능의 질주'를 재생하자 레이스카가 눈앞에서 움직이듯 소리가 입체적으로 스쳐 지나갔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