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국공립어린이집 매년 170곳 이상 늘린다

경기도청

경기도청

원본보기 아이콘

경기도가 2026년까지 매년 국공립어린이집을 170개씩 확충한다.


경기도는 국공립어린이집 신축, 기존 공동주택 관리동 민간ㆍ가정 어린이집의 국공립 전환 등을 통해 매년 국공립어린이집을 170곳씩 확대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567개 읍ㆍ면ㆍ동 가운데 국공립어린이집이 없는 읍ㆍ면ㆍ동은 총 136곳으로 24%를 차지한다. 이 가운데 영유아 수가 300인 이상인 곳은 68곳이다. 이에 반해 남양주시 다산1동과 화성시 동탄7동은 국공립어린이집이 각각 22곳, 평택시 고덕동은 21곳, 하남시 감일동은 17곳으로 지역별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경기도는 2019년부터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단지에 대한 국공립어린이집 설치가 의무화 조치가 이같은 지역 간 불균형을 가져온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국공립어린이집이 지역 간 불균형 문제를 안고 있다면 도내 어린이집은 폐원문제가 심각하다.

2018~2022년 5년간 경기도에서는 총 4098개 어린이집이 문을 닫았다. 연평균 820곳이 폐업한 셈이다. 2022년에는 882곳, 올해는 4월 기준 421곳이 문을 닫았다.


가장 큰 원인은 저출생 문제로 도내 영유아 수가 2018년 81만6247명에서 2022년 65만4856명으로 20%가량 줄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이에 따라 국공립어린이집 우선 설치 기준을 ▲지역 내 국공립어린이집의 설치 비율이 낮은 지역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이 낮은 시군 ▲국공립어린이집의 정원충족률이 90% 이상으로 수요 대비 국공립어린이집의 공급이 현저히 부족한 지역으로 정했다.


경기도는 국공립어린이집 신축 시 최대 3억원 추가 지원한다.


또 신축 부지확보가 어려우면 원도심의 주택을 매입하거나 리모델링을 통해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을 권장하기로 했다. 쇠퇴지역 및 도시 재생 활성화 지역 공동이용시설에 어린이집을 설치하는 경우 등 우선지원대상은 지원액 3억원의 10%를 더 가산해 지원한다.


윤영미 경기도 보육정책과장은 "보육 수요가 적은 구도심 일반주택단지와 구축 공동주택단지일수록 보육 사각지대 커지고 있다"며 "경기도는 부모들의 양육 부담을 해소하고 도민들이 사는 지역에 따라 차별받지 않고 양질의 공보육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국공립어린이집을 적극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