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환자 코로나 사망률, 일반인보다 최대 4배 높아"

분당서울대병원 이혜진 교수 연구팀

정신질환 환자의 코로나19 사망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최대 4배까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향후 미지의 감염병이 또다시 유행할 경우 이들이 사회안전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혜진 교수팀(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이진용 교수,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동욱 교수)은 정신질환 환자의 감염병 취약 규모와 정도를 확인하고 효율적인 공중보건 정책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해 이같이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이혜진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이진용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 이동욱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왼쪽부터).

이혜진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이진용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 이동욱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왼쪽부터).

원본보기 아이콘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중 일반인 3961명과 정신질환 환자 1153만명의 백신 접종률·코로나19 발생률 및 사망률 데이터를 활용했다. 정신질환은 전체 정신질환, 기분 장애, 조현병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코로나19로 사망할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정신질환 환자는 1.71배, 기분장애 환자는 1.95배, 조현병 환자는 4.0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로나19 감염 위험도는 일반인과 비교해 정신질환 환자는 1.06배, 기분장애 환자 1.03배 높고 오히려 조현병 환자는 0.92배로 낮았다.


연구팀은 정신질환 환자 사망률이 높은 이유에 대해 일반인보다 흡연, 당뇨, 심혈관질환 등 코로나19 중증도를 높이는 질환의 유병률이 높고, 백신 효과나 면역기능이 낮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조현병 환자의 사망률이 매우 높은 데는 백신 접종률이 절반 수준이며, 건강상태가 나빠도 입원하기가 힘든 의료시스템 때문으로 봤다.

이혜진 교수는 "조현병 환자에서 예방접종률이 낮은 것은 코로나19 시기 동안 지역사회에서 대면정신건강 서비스가 약화됐기 때문"이라며 "감염병 유행 시 조현병 환자 등 예방접종 취약 대상자에게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동욱 교수는 "정신질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병원은 정신병원이나 보호시설에서만 가능하기에 정신질환자를 위한 의료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향후 감염병 세계적 유행 같은 위기 상황에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안전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대응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아시아 정신의학회지(Asian Journal of Psychiatry)'에 게재됐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