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설리번·中 왕이 전격 회동…"우크라·대만 문제 논의"

지난 2월 정찰 풍선 논란 이후 미·중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외교·안보 라인 핵심 인사가 제3국에서 만났다.


미 백악관은 11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이 오스트리아 빈에서 회동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동은 10일부터 11일까지 이틀에 걸쳐 진행됐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백악관은 "양측이 양국 관계와 우크라이나 전쟁, 대만 문제 등에 대해서 솔직하고 실질적이며 건설적인 대화를 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회동은 열린 소통 채널을 유지하고 경쟁을 책임 있게 관리하기 위한 지속된 노력의 일환"이라면서 "이를 위해 양측은 전략적인 소통 채널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이번 회담과 관련해 "양측은 중·미 관계의 장애물을 제거하고, 관계의 하강을 중단시키고 안정화하기 위해 솔직하고 심층적이며 실질적이고 건설적인 논의를 했다"고 평했다. 이어 "왕 위원이 대만 문제에 대해 중국의 엄정한 입장을 전면적으로 설명했고 아시아태평양 정세, 우크라이나 등 국제·지역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며 "양측은 이 전략적 소통 채널을 계속 잘 사용하는 데 동의했다"고 부연했다.

이번 회동은 당초 2월로 예정됐던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이 무기한 연기된 뒤 3개월 여 만에 성사된 외교·안보 참모 간의 회동이다. 앞서 왕 위원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차이잉원 대만 총통의 미국 경유 일정을 앞두고 지난 3월 24일 비공개로 통화를 한 바 있다. 그러나 왕이가 중국 외교라인 일인자인 당 중앙 외사판공실 주임에 오른 이후, 두 사람이 별도의 양자 회동을 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2021년 양제츠 전 외사판공실 주임과 설리번 보좌관의 회동이 이뤄진 자리에서는 양국의 정상이 영상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한 전력이 있다. 이에 이번 회담 역시 미·중 간 또 다른 소통의 기회로 이어질이 귀추가 주목된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