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들면 손가락 싹둑"…생태교란종 '늑대거북' 활개

등갑 길이만 30cm 넘는 늑대거북 발견
"발견할 경우 지자체에 수거 요청해야"

포식성이 강해 사람도 무는 것으로 알려진 생태계교란종 '늑대거북'이 하천에서 발견됐다.


"건들면 손가락 싹둑"…생태교란종 '늑대거북' 활개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 10일 이색동물을 소개하는 유튜브 채널 '정브르'에는 '우리나라 하천에서 잡힌 늑대거북이 이 정도 크기면 뉴스감 아닌가요'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시됐다.

정브르는 하천에서 낚시하던 중 늑대거북을 잡았다는 구독자의 제보를 받고 직접 현장을 찾아갔다. 잡힌 늑대거북은 등갑 길이만 30cm 이상 무게가 10kg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늑대거북 [사진출처=유튜브 채널 '정브르']

늑대거북 [사진출처=유튜브 채널 '정브르']

원본보기 아이콘

정브르가 제보자에게 "낚시 중 다른 거북이도 본 적이 있냐"라고 묻자 제보자는 "자라나 남생이를 봤다"라고 답했다.


정브르는 "자라나 남생이 같은 우리나라 토종 생물들이 있는데 (같은 공간에) 늑대거북이 한 마리 있다는 것 자체가 생태계를 위협하는 것"이라며 "늑대거북이 최상위 포식자라서 아무도 늑대거북을 죽이거나 괴롭힐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늑대거북을 발견할 경우 지자체에 연락해서 수거하게 해야 한다고 전했다.

"절대 맨손으로 가까이 가면 안 돼"…늑대거북, 어떤 동물이길래?
늑대거북 [사진출처=연합뉴스]

늑대거북 [사진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늑대거북은 미국과 캐나다 등지에서 넘어온 동물로 늑대처럼 길게 늘어진 꼬리를 가졌다고 해서 그 이름이 지어졌다. 다 자라면 머리와 꼬리를 포함해 80~100cm가 될 정도로 덩치가 크다.


먹이의 종류를 가리지 않는 늑대거북은 자신의 영역을 침범당했다고 생각할 경우 사람과 같은 큰 포유류는 물어버리는 습성을 지녔다.


정브르는 "미국에서 늑대거북과 악어거북에 의해 발가락이 잘린 사례도 나타났다"며 "절대 맨손으로 가까이 가면 안 된다"라고 경고했다.


이같이 늑대거북은 포식성이 강하고 국내에는 천적이 없어 생태계 위해성이 큰 탓에 지난해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됐다.


환경부는 이로 인해 늑대거북의 사육을 포기하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보고 수거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여전히 전국 곳곳에서는 유기된 늑대거북이 발견되고 있다.


정브르는 "늑대거북이 새끼 때는 작고 귀여워서 (사람들이) 입양해서 기르려고 했었을 텐데 무책임하게 유기돼 안타깝다"라고 전했다.


한편 지자체에서 늑대거북을 수거할 경우 폐기 처분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영상에 소개된 늑대거북의 경우 가을에 개최 예정인 생태계 교란 관련 전시에 선보여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지수 인턴기자 hjs1745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