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크론병·궤양성 대장염 '재발 예측 지표' 나왔다

소아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 대한 생물학적 주사제 중단 후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국내 의료진이 발견해냈다.


소아 크론병·궤양성 대장염 '재발 예측 지표' 나왔다 원본보기 아이콘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김미진·최연호 교수팀은 소아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에서 생물학 제제를 초기부터 충분한 기간 사용한 후 잔약했을 때 면역 기능에 관여하는 단핵구 비율이 병의 재발과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소아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은 전체 환자 중 약 25%가 20세 이전 소아청소년인 것으로 알려진 염증성 장질환을 말한다. 재발 우려가 커 쉽게 치료약 투여를 중단하기 어렵고, 복용 기간이 길수록 약물 특성상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크지만 언제 끊어야 할지 몰라 환자와 보호자를 애태우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2003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염증성 장 질환으로 진단받은 소아환자 727명을 대상으로 생물학 제제 중단 후 재발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고 생물학 제제 중단 당시의 임상적 특징, 단핵구, 질병 활성도 등을 평가했다.


단핵구는 염증성 장질환의 면역 반응에서 상부의 염증 과정에 관여한다.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은 '깊은 관해'(deep remission)를 확인하고 생물학 제제를 중단하면 재발할 수 있는데, 이번 연구는 생물학 제제 중단 후 재발을 경험한 환자에서 단핵구 비율이 '재발 예측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생물학 제제 중단 당시 단핵구의 비율, 절대 단핵구수, 단핵구/다형성백혈구(PMN) 비율이 재발한 환자에게서 유의하게 높았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단핵구 백분율과 PMN 비율이 재발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약 당시 혈액 내 단핵구 비율이 8.15%를 초과하는 것은 환자의 증상 감소에도 불구하고 단약 6개월 이내에 재발할 확률이 높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미진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에서는 중증도 이상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초기부터 톱-다운 치료 전략을 사용하여 빠르게 깊은 관해 상태에 도달한 뒤 단약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는 가까운 미래에 완치에 도전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기 위한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면역학 저널인 '프론티어즈 인 이뮤놀로지'(Frontiers in Immunology, IF=8.787)에 게재됐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