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구직자 희망 초봉 男 4200만원·女 3780만원

평균은 3944만원

첫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들이 원하는 기업은 대기업, 받고 싶은 초봉은 4214만 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구직자들이 받고 싶은 초봉의 평균은 3944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에 참석한 구직자들이 채용게시판을 보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1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에 참석한 구직자들이 채용게시판을 보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원본보기 아이콘

29일 HR테크 기업 인크루트가 지난 20일부터 21일까지 올해 8월 대학교 졸업예정자와 기졸업자 등 신입 구직자 653명을 조사한 결과 신입 구직자들이 희망하는 평균 연봉은 3944만원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희망 초봉이 남성은 평균 4204만원, 여성은 3780만원 수준으로, 지난해 같은 조사 결과인 평균 3880만원보다는 64만원 더 많았다.


물가 상승률과 본인 생활 수준 등 현실적 요인을 고려해 입사 시 희망하는 초봉으로 기업 규모와 직군에 관계없이 4000만원이 가장 많이 꼽혔다.


초봉 수준 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대출·학자금·생활비 등 고정 지출 규모를 고려해 정했다는 응답이 37.9%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기업 규모와 업계 평균 초봉 수준이 20.8%, 요즘 물가 수준이 20.5%로 비슷한 수준의 응답률을 보이며 뒤를 이었다.

[이미지출처=인크루트]

[이미지출처=인크루트]

원본보기 아이콘


초봉 수준이 입사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답변에는 응답자의 대부분인 95.4%가 '입사 지원을 할지 말지 결정하는 데 초봉 수준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입사를 희망하는 기업으로는 응답자의 절반을 넘는 54.4%가 대기업을 꼽았다. 이어 중견기업 46.2%, 외국계 기업 19.1% 순이었다.


한편 지난해 국세청이 발표한 '2022년 4분기 공개 국세 통계'에 따르면 근로자 1인당 평균 급여는 4024만 원으로 집계됐다.


근로자 평균 급여는 2017년 3519만원에서 2018년 3647만원, 2019년 3744만원으로 증가한 데 이어 2020년 3828만원으로 늘었고, 2021년에는 처음으로 400만원을 넘어섰다.


같은 해 최상위 0.1% 구간에 속하는 1만9959명의 총급여는 1인당 평균 9억5615만원이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