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회사나 공공기관 임원으로 재취업한 금융당국 출신들이 수억원대에 이르는 연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시 ‘금융감독원 출신’, ‘금융위원회 출신’ 타이틀이 이용되면서 당국이 고액 연봉의 징검다리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아시아경제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실로부터 받은 '2018~2022년 금감원·금융위 퇴직자 재취업 심사 현황' 자료에 따르면 5년간 두 기관에서 민간 회사나 공공기관으로 자리를 옮긴 이들은 모두 146명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출신 125명(제한, 불승인 4명 제외), 금융위 출신 21명(제한, 불승인 3명 제외)이다. 이들은 보험연구원, 금융결제원, 금융투자협회 등 금융 관련 법인부터 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생명보험사, 카드·캐피탈사 등 민간기업까지 다양한 분야로 이직했다. 김앤장 법률사무소, 법무법인 광장·세종·태평양 등 대형 로펌으로의 이직도 활발하다. 직위도 부사장, 원장, 대표이사, 전무, 상무, 고문, 사외이사 등으로 주로 임원급이다.
고액 연봉자도 상당했다. 각사 경영공시에 따르면 2019~2021년 KB국민은행 상임감사를 역임한 주재성 전 금감원 부원장은 10억4000만원을 수령했다. 급여 3억8000만원, 상여금 5억5800만원, 복리후생비 1900만원, 퇴직금 8300만원 등이다. 이와 별도로 성과급 명목으로 주식 4785주도 챙겼다. 허창언 전 신한은행 상임감사(전 금감원 부원장보)는 보수 5억700만원과 주식 6209주를, 이주형 전 하나은행 상임감사(전 금감원 국장)는 보수 5억400만원과 주식 5170주를 받았다.
고연봉을 찾아 이직한 저연차 직원들도 적지 않다. 근속연수가 10년 안팎인 3~4급 직원들이 퇴사 후 민간 기업으로 이직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2019년 근속연수가 4.4년인 한 4급 직원이 민간 제조업체로 이직했고, 2.2년 재직한 4급도 보험사 차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2020년 2명, 2021년 2명, 2022년 4명이 이직했다. 심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4급 이하 직급까지 포함하면 사례는 더 많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저연차 직원들의 이직은 명예보다 소득을 우선하는 세태가 반영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고액 연봉을 매개로 전·현직 간 네트워크가 공고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김재훈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고액연봉직으로 이동한 선배가 후배에게 취업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미끼로 청탁이 오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