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10% 올려달라" 인플레에 NYT 기자들도 파업

41년만에 파업…임금 협상서 타협점 못 찾아
비노조원·파업 불참자 동원해 신문 정상 발간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시 맨해튼의 뉴욕타임스 사옥 앞에서 뉴욕타임스 노조원이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시 맨해튼의 뉴욕타임스 사옥 앞에서 뉴욕타임스 노조원이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점심 도시락 말고 급여를 올려달라!"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시 맨해튼 뉴욕타임스 사옥 앞에서는 이러한 구호가 울려퍼졌다. 구호를 외친 이들은 뉴욕타임스(NYT) 기자와 직원들. 이들은 20개월 동안 지지부진하게 이어져 온 임금 협상에서 끝내 타협점을 찾지 못하게 되자 8일 하루 파업에 돌입했다. NYT 기자들이 파업에 나선 것은 1981년 이후 41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이날 파업에 돌입한 NYT 노조에는 1270명의 편집국 기자들을 포함해 1450명이 속해 있다. NYT 기자들은 전 세계에 1800명 이상이 있다. 24시간 파업에 참가한 노조원들은 1100명 이상이라 NYT는 대다수의 기자들이 근무하지 않는 열악한 상황에서 신문을 만들어야 했다. 조 칸 NYT 편집국장은 "통상 파업은 대화가 교착 상태에 이를 때 발생하지만, 아직 그런 상황이 아니다"라며 노조의 파업 결정을 비난했다. 사측은 비노조원과 파업 불참자들을 동원해 8일자 신문을 정상 발간했다.


수십 명의 노조원들은 8일 오후 NYT 사옥 입구 앞에서 피켓 시위를 벌였다. 시위 참가자들은 '뉴욕타임스 파업'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확성기를 동원해 "급여 인상"과 같은 구호를 외쳤다. NYT 비즈니스 기자이자 노조위원장인 스테이시 카울리는 "사명을 깊이 믿는 회사와 이런 종류의 싸움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우리 중에 아무도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3월 기존 노사 협약이 만료된 후 NYT 경영진과 노조는 급여, 퇴직금 및 기타 혜택을 중심으로 협상을 진행 중이나, 양측은 향후 4년 동안의 임금 인상 규모를 포함해 여러가지 항목에서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한 파업 참가자는 "나의 모든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이 심해짐에 따라 내 월급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지켜봐야 했다"며 "나는 이곳에서 일하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 내가 원하는 것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 공정한 계약을 맺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NYT 노조는 지난 2년 동안 받지 못한 임금 인상분까지 고려해 10%의 임금 인상을 요구한 반면, 사측은 5.5%만 올려줄 수 있으며 내년과 2024년에 각각 3%씩 인상하겠다고 제안했다. 지난해 3월 만료된 노사 협약의 연간 임금인상률은 2.2%였다. 이에 신문기자들의 노조인 '뉴스길드'는 성명을 내고 "그들(사측)의 임금 제안은 물가상승률은 물론 미국의 평균 임금상승률을 훨씬 밑돌아 경제적 상황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한 NYT 노조는 맡은 업무에 따라 가능할 경우, 원격 근무를 보장하는 계약을 원하지만 사측은 사무실에서 전일제 근무를 하도록 직원을 소환할 수 있는 권리를 원해 양측의 입장 차가 크다.


날로 심해지는 미국 내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의 영향은 신문 사업 또한 피해갈 수 없어, 지난달에는 USA 투데이 등 100개 이상의 일간지를 발행하는 개닛(Gannett Co.)의 직원 200명 이상이 해고와 무급휴직에 항의하기 위해 하루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 이 회사는 지난 8월 400명을 감원한데 이어, 10월에는 무급휴직을 실시하고 자발적 퇴사를 제안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