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 책임 전가 유감…어떤 도발에도 강력 대응"

北유엔대사 '이태원 참사' 언급
"인도주의 위배…강한 유감 표명"

통일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통일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장희준 기자, 유인호 기자] 정부는 한미일 정상의 '확장억제 강화' 합의에 대한 북한의 비난 담화를 반박하며 대화에 나올 것 촉구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정례브리핑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의 한미일 확장억제를 비난하는 담화에 대한 질문에 "또다시 책임을 외부로 전가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올해 62번째 탄도미사일 도발을 재차 감행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는 북한의 불법적인 핵·미사일 도발은 한미동맹의 억제력과 한미일 안보협력의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는 결국 북한의 안보를 저해하고 국제적인 고립을 심화시킬 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굳건한 한미연합 방위태세를 유지하고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국제사회와 공조해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일부 당국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당사자는 한미가 아니라 북한이며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며 "지금 한반도 긴장이 고조된 건 한미의 확장억제 때문이 아니라 북한이 지속적으로 핵 개발과 도발을 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과 미국 모두 '억제'에 대해서만 말하고 있지는 않다"며 "이미 제의한 남북회담이 현재 유효함은 물론 한반도 현안에 대한 모든 남북 간 대화는 열려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의 비핵화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에 호응할 경우 북한에 구체적인 설명을 할 준비가 돼 있다는 게 통일부의 입장이다.


앞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은 담화를 내고 "우리의 군사적 대응은 더욱 맹렬해질 것"이라고 위협했다. 미국이 동맹국에 대한 확장억제 제공과 역내 군사적 활동을 강화해 나가기로 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외교부와 통일부는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가 북한인권결의안에 반발하는 과정에서 '이태원 참사'를 거론한 것에 대해서도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우리의 국가 애도 기간 중 애도는커녕 무력 도발을 자행한 것도 개탄스럽지만, 인권과 인도주의를 논하는 국제무대에서 이를 정치적 비난의 소재로 이용하는 것은 인도주의 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행위"라고 규탄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도 "북한의 터무니없는 주장은 북한의 인권 경시 태도를 잘 보여준다"며 "전 세계가 이태원 참사 피해자에 대해 조의와 애도를 표하는 와중에 북한은 미사일 도발을 했다"고 지적했다.


김성 대사는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3위원회 회의에서 북한인권결의안에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한 한국에 대해 "내치 능력 부족이 원인이 된 인재(人災)인 유례없는 압사 사고를 촉발했다"고 공격한 바 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