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 겨울 재유행 최대 20만명 예상…여름 유행과 비슷할 듯"(상보)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변선진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겨울 재유행이 최대 20만명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지만 여름 유행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이런 전망을 토대로 코로나 방역지침은 현행대로 유지하는 한편 고위험군의 백신 접종률·치료제 처방률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9일 브리핑에서 "질병관리청과 민간 연구진의 수리 모델링 결과 변이 발생 등의 시나리오에 따라 겨울철 유행이 최대 일 5만명에서 20만명까지 폭넓게 전망됐다"며 "다만 예측할 수 없는 요인으로 더 증가하거나 감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정부는 겨울 유행의 정점을 변이 유입 상황에 따라 12월 또는 그 이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예방접종과 먹는 치료제 투약, 감염취약시설 보호와 변이 감시에 집중해 확산세를 막겠다고도 했다.


방대본은 겨울철 유행에 대비하기 위한 방역·의료 역량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현재 하루 최대 85만명이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는 것이 가능하며, 신속항원검사(RAT) 의료기관은 1만2327곳이 마련돼 있다. 전담병상 6000여곳을 갖췄으며 1만2000개의 일반격리 병상을 준비 중이다. 치료제는 200만4000명분이 확보돼있고 140만4000명분이 도입됐다.


현재 기초접종을 완료한 만 18세 이상 성인은 오미크론 변이 BA.1 기반 모더나·화이자, BA.4/5 기반의 화이자 2가 백신 3종을 중심으로 동절기 추가접종도 받을 수 있다. 방대본은 "오미크론 변이를 타깃으로 만든 2가 백신은 중증·사망 예방 효과가 확보되는 한편,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감염 예방 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했다.

9월과 10월 중단된 입국 전·후 검사 의무 중단은 계속 유지

정부는 9월과 10월 중단된 입국 전과 후의 검사 의무 중단을 계속 유지한다. 다만, 세계보건기구(WHO) 지정 신규 우려변이가 출현하거나 발생률·치명률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국가가 발생하면 '주의국가'(LEVEL2)를 지정해 비자 발급, 항공편 운항 제한 등의 조처를 하거나 입국 전·후 검사 재도입을 검토한다. 실내 마스크 착용과 확진자 7일 격리 의무는 겨울철 유행이 안정화될 때까지 유지할 방침이다. 정부는 실내 마스크 의무, 격리 의무 등 조치 완화를 겨울철 유행 안정화 이후 상황 평가와 자문위원회 등 전문가 논의를 거쳐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코로나 위험도는 2주 연속 '중간'…"고위험군 백신접종률 끌어올릴 것"

방대본은 이날 11월 1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직전주(10월 4주)와 동일하게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에서 '중간'으로 평가했다. 신규 확진자 발생이 3주 연속 증가 추세에 있으며, 위중증·사망자 환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어서다. 방대본에 따르면 주간 일평균 확진자는 전주 대비 27.5% 증가해 4만2476명으로 늘었으며, 감염재생산지수는 3주째 1을 넘고 있다. 감염재생산지수가 1을 넘으면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 11월 1주 신규 위중증 환자는 281명, 사망자는 225명으로 전주 대비 각각 23.5%, 44.2%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방대본은 동절기 추가접종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온라인 예약 등이 어려운 어르신을 위해 지자체와 적극 협력하여 행정복지센터를 통한 예약지원을 지속한다. 또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신속한 접종을 위해 17개 시도별로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자체접종, 방문접종 시행을 독려하고 방문접종팀 운영에 필요한 예산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계부처와 노인단체, 장애인협회, 지역의사협회 등과 협조해 60세 이상 고위험군과 감염취약시설 구성원의 접종 독려·홍보를 강화하겠다고도 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