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항원검사 결과로 코로나 감염자 적정 격리기간 계산한다! … 부경대 김광수 교수, 연구결과 발표

코로나 감염자 격리 종료 조건 설계 이미지.

코로나 감염자 격리 종료 조건 설계 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황두열 기자] 코로나19 감염자의 격리기간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감염자의 부담과 감염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격리기간을 계산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코로나19 감염자는 확진 후 일정 기간 격리된다. 사람에 따라 격리 종료 전에 감염성이 없어지거나 반대로 감염성이 유지되는 경우가 있어 적절한 격리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요구돼 왔다.

국립부경대학교 김광수 교수는 부산대 정용담 연구원, 정일효 교수, 일본 나고야대, 미국 인디애나대 연구진과 진행한 공동연구에서 신속항원검사 결과를 활용한 코로나19 감염자 격리지침 설계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김 교수는 “고정 기간 감염자를 격리하는 것이 아닌 바이러스 부하가 임계치 밑으로 떨어질 때까지 격리하는 것이 감염자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공동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검사 간격과 음성 확인 횟수 등 다양한 조건으로 항원 검사를 실시하고 격리 종료 시점에 감염성을 보유하고 있는 감염자의 확률(리스크)과 감염성을 잃은 후에도 계속 격리되는 기간(부담)을 계산했다.

연구에 따르면 항원 검사 검출 한계치를 기준으로 격리 종료 조건을 설계하면 위험과 부담을 모두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수준의 리스크를 제어하는 상황에서 항원 검사 검출 한계치가 감염성 한계치보다 높으면 음성 확인을 여러 차례 해야 하고 감염성 한계치를 밑돌 경우 더 적은 음성 확인 횟수로 격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경대 김광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Designing isolation guidelines for COVID-19 patients with rapid antigen tests’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최근 공동 제1 저자로 게재했다.

국립부경대학교 김광수 교수.

국립부경대학교 김광수 교수.

원본보기 아이콘




영남취재본부 황두열 기자 bsb0329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