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광주전남, 월패드 해킹 방지 등 홈네트워크 보안 노력

LH 광주전남, 월패드 해킹 방지 등 홈네트워크 보안 노력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박진형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가 월패드 해킹으로 인한 입주민 사생활 유출 방지를 위해 보안스티커 및 보안수칙 포스터 배포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월패드는 가정 벽면에 부착된 형태로, 출입통제 및 조명제어 등의 기능을 갖춘 주택관리 단말기로 지난해 11월 국내 아파트 700여 곳의 월패드가 해킹되며 집 내부를 불법 촬영한 영상물이 웹사이트(일명 다크웹)에 무분별하게 유포돼 큰 논란이 일었다.

이에 LH는 입주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주기적으로 보안장비(방화벽)를 업데이트하고 네트워크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각 세대 차원에서 시행할 수 있는 보안 방법 홍보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홈·가전 사물인터넷 보안 가이드에 따르면 월패드 이용자는 ▲기기는 반드시 암호 설정하기 ▲주기적으로 보안업데이트 하기 ▲카메라 기능 미 이용 시 카메라 렌즈 가리기 등으로 해킹을 예방할 수 있다.


LH 광주전남본부는 관할 임대아파트 중 카메라 달린 월패드가 설치된 단지(광주효천2등 6개단지 4366세대)를 대상으로 카메라 가림용 보안스티커를 배포했으며, 월패드 관리 및 이용에 대한 보안수칙 포스터를 단지 내에 게시했다.

보다 더 근본적인 해결책을 위해 현재 공동주택 스마트홈 보안 설계기준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연내 설계기준 개정을 완료하고 홈네트워크 유지관리 표준매뉴얼을 마련할 방침이다.


김재경 LH 광주전남본부장은“금번 월패드 카메라에 대한 보안조치와 더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입주민의 사생활 보호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박진형 기자 bless4y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