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총리 "지역 구분없이 역량·의지 따라 반도체학과 증원 도울것"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5일 오전 대전시 유성구 궁동 충남대학교 반도체실험실을 찾아 반도체 인재 양성 연구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이미지출처:연합뉴스>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5일 오전 대전시 유성구 궁동 충남대학교 반도체실험실을 찾아 반도체 인재 양성 연구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수도권·비수도권 구분 없이 역량과 의지를 가진 대학이라면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 증원을 지원한다는 게 원칙"이라고 25일 말했다.


박 부총리는 이날 충남대를 찾아 현장을 살펴보고 학생과의 간담회를 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앞서 정부가 지난 19일 발표한 반도체 인재양성 방안에는 비수도권뿐 아니라 수도권 대학의 반도체 관련학과 증원 계획이 담겨 지방대를 중심으로 ‘수도권 쏠림 현상이 더 심해질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박 부총리는 "대학 정원 증원이 수도권 대학에 집중될 것으로 걱정하는 분들이 있지만, 정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구분 없이 ‘역량과 의지를 가진 대학’이라면 적극 증원을 지원한다는 원칙"이라고 말했다.


지방대 지원 방안도 강조했다. 그는 "재정지원과 관련해서도 지방대학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 등을 통해 지방대학이 산학연 협력 생태계의 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 "조속히 ‘지방대학 발전 특별협의회’를 구성하고 가칭 ‘고등·평생교육 지원 특별회계’를 신설해 지방대학 재정지원을 대폭 늘리겠다"고 덧붙였다.


과잉공급 우려에 대해서는 ‘반도체 인재양성 지원 협업센터’ 같은 민관협업체계를 꾸려 상황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반도체 분야 회사별로 필요로 하는 인력 분야와 수준 등이 다르므로 실질적인 인력 수요 파악이 중요하다는 제안과 석·박사급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등의 의견 등이 나왔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