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집단행동 예고에 말 아낀 尹… "필요한 조치 해 나갈 것"(상보)

행안부·경찰청 후속 조치 가능성… 전날 김대기 비서실장 "총경들 회의, 부적절" 언급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경찰국 신설에 대한 일선 경찰들의 반발에 대해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에서 필요한 조치를 잘 해 나갈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전날 대통령실은 경찰청이 '전국 경찰서장 회의'를 주도한 울산 중부경찰서장을 대기발령하고 회의에 참석한 총경급 간부의 감찰에 착수한 것에 대해 복무규정 위반이라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경찰들의 집단행동 예고에 대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현재 행안부는 경찰을 견제할 감시 조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일선 경찰들은 독립권 침해라며 경찰국 신설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직접적인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행안부와 경찰청의 '조치'를 언급한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지금의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주말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이 새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기자들과 만나 "총경들이 회의를 하는 것은, 저는 공무원을 35년 했고 과거 경험으로 봐서도 부적절하다"고 밝힌 것 역시 윤 대통령의 입장을 전한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 역시 "치안 책임자가 지역을 이탈해 회의를 한 것이고 경찰 지도부가 회의 시작 전과 도중에 해산을 지시했다"며 "명백하게 지휘를 어긴, 복무규정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이른바 검수완박법에 반발했던 평검사 회의 때는 징계가 없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평검사들의 의견을 모아 회의한 것과 치안 책임자인 서장들이 한 것은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입장을 내놨다.


다만 대통령실은 6월 경찰 치안감 인사 파동 당시처럼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설 가능성에는 선을 긋기도 했다. 김 실장은 "대통령께서 나설 사항은 아닌 것 같다"며 "기강에 관한 문제도 있고 하니까 경찰청과 행안부, 국무조정실 등에서 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날 윤 대통령이 이번 사태에 대해 입장을 짧게 내놓고 국회 대정부질문에 대해 "(장관들이) 국회의원에게 답변하는 것도 있지만 국민들에게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민들께서 잘 납득하실 수 있도록 잘 설명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하며 자리를 뜬 것도 이 때문이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