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악재" 공매도 전면 재개의 딜레마

공매도 금지 조치 2년 넘었다
상반기 전면 재개 어려울듯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3월 공매도를 금지한 뒤 1년2개월만이 지난해 5월3일 코스피200 종목과 코스닥 150 등 대형주만 공매도를 부분 허용했다. 하지만 나머지 종목은 여전히 공매도가 2년 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당시 코로나19 폭락장에서 우리나라와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 공매도를 금지했지만, 아직까지 전면 재개하지 않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정부는 올해 초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추진하면서 상반기 안으로 선결 조건인 공매도를 전면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당시 이윤수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국장은 한 세미나에 참석해 "거시경제 여건 등을 종합 고려해 (공매도 재개) 시기를 검토 중"이라며 "시간이 조금 지나면 (공매도 전면 금지 시점으로부터) 2년을 넘어가게 돼 가급적 상반기 중 정상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올해부터 미국의 금리인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등 글로벌 긴축정책이 속도를 내는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경제가 휘청이면서 상반기 전면 재개는 불가능한 분위기다. 지난해 상반기 3300까지 치솟은 코스피 지수는 인플레이션 논란 속에서 미국 긴축 우려가 확산된 올초 3000대에서 급락하면서 최근 2600선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천스닥 시대’를 열었던 코스닥 지수는 900대가 무너지기도 했다. 이달 미국의 빅스텝(기준금리를 한꺼번에 50bp 인상)을 앞두고 증시 변동성이 더욱 커진 점도 부담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올해초와 상황이 많이 바뀌었다"면서 "미국 긴축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공매도를 전면 재개 시점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시장에선 공매도가 전면 재개되더라도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안타증권이 올해 연초 이후 공매도 거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공매도가 가장 활발하게 이뤄진 날은 지난 3월7~14일로 코스피가 2650까지 빠지며 연중 최저점을 기록했다. 김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공매도는 하락을 예상해서 미리 던져지는 것이 아니라, 하락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헤지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강하다"며 "공매도가 증시의 방향성을 바꾸지는 못한다"고 전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