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초 온라인 개학·선제검사로 대응…교육결손은 한계

교육부, 2년 3개월간 대응 정리한 코로나19 백서 발간
종식 이후 감염병 예방·위기대응 매뉴얼 개정키로

사상 최초 온라인 개학·선제검사로 대응…교육결손은 한계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교육부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전례 없는 온라인 개학과 원격수업, 선제검사 등 방역 조치로 대응했지만 교육 결손과 잦은 방역 지침 변경으로 학교 현장 부담이 컸던 점은 한계로 꼽았다.


3일 교육부는 2년 3개월 간의 코로나19 대응 과정을 정리한 '교육분야 코로나19 대응' 백서를 발간했다. 2020년 첫 확진자가 나온 시점부터 2022년 오미크론 변이 확산까지 교육당국의 코로나19 대응 내용을 담았다.

2020년 4월 교육부는 사상 최초로 온라인 개학을 실시하고 전면 원격수업을 도입했다. 단시간에 대규모 원격수업 체계를 마련하면서 시스템 오류·접속 장애로 학생과 교사들이 불편을 겪었으나 꾸준히 보완하면서 시스템을 안정시켰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 운영 비율은 2020년 1학기 14.8%에서 2021년 1학기 77.6%로 증가했다.


2021년 9월부터 12~17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2022년 3월부터 5~11세 소아 예방접종 계획을 발표 후 시행했다. 방역당국과 협조해 찾아가는 학교단위 예방접종도 운영했다.


2022년 초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학교별 확진자·등교중지자 비율에 따라 탄력적으로 원격수업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학사운영방안도 마련했다. 정상등교를 추진한다는 기조 아래 신속항원검사 도구를 무료로 배부하고 선제검사 후 등교 지침을 운영했다.

2년 이상 원격·등교 수업이 병행되면서 학습·정서·사회성과 관련해 학생들의 교육결손이 발생한 점은 아쉬운 점으로 꼽았다. 자주 변경되는 방역지침을 반영해 수업 등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부족했다는 점은 학교 현장에서도 큰 부담이었다.


교육부는 향후 공식적으로 코로나19 종식 선언이 이뤄진 후에 보완 필요사항과 현장 사례 등을 포함해 학생 감염병 예방·위기대응 매뉴얼을 개정할 계획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2년여간의 코로나 대응을 기록하며 그 이후의 감염병 위기까지 대응하는 지침 체계를 정비해 어떤 위기 순간에도 우리 교육이 중단없이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