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英 아닌 美에 상장?…보리스 존슨까지 '붙잡기' 나섰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암(Arm)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인수가 무산된 이후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영국 정부가 Arm의 대주주인 일본 소프트뱅크 설득에 나섰다. 소프트뱅크가 뉴욕 나스닥 상장에 관심을 보이자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까지 나서 런던증시로 불러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일(현지시간) 영국의 한 주요 외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영국 정부 관계자들이 소프트뱅크 측과 접촉하며 설득 작업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복수의 소식통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존슨 총리가 최근 소프트뱅크 경영진에 서한을 보냈다고 전했다.

Arm 상장을 런던증시로 가져오기 위한 영국 정부의 노력은 크리스 필리프 디지털 담당 장관과 전 바클레이스 회장 출신의 게리 그림스톤 국제통상부 투자담당 장관이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수주 내로 소프트뱅크 경영진을 만나 대화를 나눌 예정이다. 외신은 영국 정부의 로비 활동이 디지털, 문화, 미디어, 재무부, 상무부 등 여러 부처가 개입돼 있다고 전했다.


앞서 Arm은 2020년 9월부터 엔비디아 합병을 추진했지만 미국 등 전 세계 주요 국가의 규제에 부딪히면서 지난 2월 결국 합병에 실패했다. 이후 같은 달 Arm은 합병 대신 IPO를 진행하겠다고 밝혔고 대주주인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은 뉴욕 나스닥거래소가 글로벌 하이테크의 중심인 만큼 Arm이 상장하기 적합한 곳이라고 말했었다.


영국 정부는 Arm이 런던이 아닌 뉴욕에서 IPO를 진행할 경우 자국의 기술 분야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소식통은 "영국 정부가 기술 세부분야를 육성하려 하고 있다"면서 "Arm은 매우 의미있는 분야의 기업이며 정치적으로 민감한 기업"이라고 말했다.

다만 영국 정부의 이같은 노력에도 소프트뱅크는 Arm의 뉴욕증시 상장을 강행할 것으로 보인다. 소프트뱅크 측의 소식에 정통한 소식통들은 대다수의 소액 투자자들이 런던이 아닌 뉴욕에서 IPO 하는 것을 더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면서 소프트뱅크가 마음을 바꿀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전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