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빅데이터로 공공시설 입지 선정…공공자전거 대여소 등 위치데이터 제공

공공자전거 대여소와 택배함, 이동노동자 쉼터에 활용

후보지역 시각화

후보지역 시각화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행정안전부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분석으로 ‘표준분석모델’을 개발해 공공자전거 대여소 등 공공시설물 입지선정에 활용한다고 3일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공공시설 입지선정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대전시청, 용인시청과 함께 협업으로 진행됐다. 대전시와 용인시는 기존 공공자전거 대여소 260개소 등 시설물 관련 위치데이터를 제공했다.

행안부는 유동인구, 상주인구, 교통과 공공시설 입지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권, 건축물, 등록인구, 교통시설 등 40종의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공공자전거 대여소의 입지는 대중교통 요인이 중요했으며 설치에 적합한 장소의 80%는 50m 이내에 버스정류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교통이 활성화된 장소가 대여소 입지에 적격인 것으로 파악됐다.


택배함 설치적합도가 높은 지역은 30대부터 50대까지의 세대가 주축인 주거지역이었으며 20대 인구는 택배함 수요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었기에 경제활동 여부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됐다. 이동노동자 쉼터 설치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지역은 거주인구와 소상공인이 상대적으로 적고 분산된 원도심 지역이었으며, 1㎢내에 3000명 이하의 인구와 300개 이내의 소상공인 사업체가 산재 된 형태를 보였다.


대전시는 이번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공공자전거 대여소 261개소를 포함해 739개소를 추가로 설치했으며 용인시는 택배함과 전기차충전소 추가 설치에 입지선정 모델을 활용할 계획이다.

이 밖에 행안부는 교통량에 따른 미세먼지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모델과 지역 먹을거리(로컬푸드) 활성화 모델도 개발했다. 미세먼지 예측 및 대응 모델은 서울시 서초구청에서 살수차 운행노선 설계에 사용되며, 지역 먹을거리(로컬푸드) 활성화 모델은 전북 익산시와 충남 예산군에서 농작물 가격 예측과 추천에 활용될 예정이다.


한창섭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이번에 개발한 표준분석모델은 모든 행정·공공기관이 활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모델로서 자치단체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게 된다”며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의 행정을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분석모델을 개발하고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