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 특별이사회 "3~6월 러시아·우크라 밀 수출 전망 밑돌듯"

[아시아경제 세종=김혜원 기자] 식량농업기구(FAO)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산(産) 밀 수출량이 당초 전망치를 밑돌 것으로 예상했다. 또 두 나라에 대한 식량 및 비료 의존도가 높은 국가에 대체 수입국 모색 등 대안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8일 열린 제169차 유엔(UN) FAO 특별이사회에 영상으로 참석해 이같이 논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이사회는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세계 식량 불안이 심화함에 따라 이사국의 소집 요청으로 이뤄졌다. 49개 이사국을 비롯해 참관국, 국제기구 관계자 등 450여명이 현장 및 화상으로 참석했다.


FAO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시장의 약 30%를 점유하고 있다. 50여개국이 양국으로부터 최소 30% 이상의 밀을 수입하고 있으며 이중 26개 국가는 필요한 밀의 절반 이상을 수입하고 있다.


FAO는 "전쟁 이전에도 식량 및 비료의 높은 가격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던 최빈 개발도상국, 저소득 식량 부족 국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식량 및 비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더욱 취약한 상황"이라며 "북아프리카와 중앙·서아시아의 국가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의 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대체 수입국 모색 등 대안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아프리카의 북한으로 불리는 에리트레아는 밀을 러시아(53%)와 우크라이나(47%)에서 전량 수입한다.

FAO는 올해 3~6월 밀 수출량을 러시아 800만t, 우크라이나 600만t으로 당초 전망했으나 우크라이나 내 항구 폐쇄, 수확·파종 차질, 러시아의 수출 어려움 등을 고려할 때 당초 수출량은 실현되기 어렵다고 봤다.


이사국들은 수백 만명이 이미 기아를 겪고 있거나 심각한 식량 불안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농산물 공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역의 분쟁으로 인한 식량 불안 심화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FAO의 우크라이나 내 식량안보, 농업 생계 지원 등 인도적 대응과 노력을 지지했다.


이사국들은 FAO가 세계식량계획(WFP),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등 로마 소재의 UN기구, 국제금융기구 등과의 협력을 통해 세계 식량안보에 대응해 줄 것을 강조하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세계 식량안보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해 줄 것을 요청했다.


우리나라 대표단은 이번 사태가 저소득 국가와 식량 상황이 취약한 국가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큰 만큼 인도적 차원에서 식량문제의 실행력 있는 해소 방안을 찾아야 하며 식량원조를 비롯해 공적개발원조 등을 통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는 뜻을 전했다.




세종=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