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자산운용, 퇴직연금 상품 눈에 띄네

'KB퇴직연금배당40펀드' 16년째 운용 중
온국민 TDF 1조 돌파 눈앞
DB형 시장에서도 OCIO펀드로 두각

KB자산운용, 퇴직연금 상품 눈에 띄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황윤주 기자] 하반기 디폴트옵션 시행을 앞두고, 퇴직연금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디폴트옵션에 포함되는 유형은 타깃데이트펀드(TDF), 혼합형펀드, 머니마켓펀드(MMF), 부동산인프라펀드, 원리금보장상품 등이다.

TDF는 이미 국내 수탁고 규모가 10조원을 돌파할 만큼 투자자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만, 혼합형 상품 중에서는 대표적인 상품이 없다. 'KB퇴직연금배당40펀드'는 연금시장에서 장기성과가 입증 된 만큼 디폴트 옵션 도입 시 주목받을만한 상품이다.


KB자산운용 'KB퇴직연금배당40펀드'는 주식편입비중이 40% 이내인 채권혼합형 펀드로 2006년 출시해 16년째 운용중인 장수 퇴직연금 펀드다. 2015년 설정액 1조원을 돌파한 후 한번도 1조원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는 대표적인 공룡 펀드다.


2006년 1월 설정이후 수익률은 192%다. 최근 10년 수익률은 62%로, 같은 기간 주식시장 상승률(32.8%)을 두 배 가량 앞질렀다. 10년 전에 'KB퇴직연금배당40펀드'를 가입한 고객은 연평균 6%이상의 고수익을 꾸준하게 낸 셈이다.

또 KB자산운용의 주력 연금 상품인 온국민 TDF도 1조펀드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 밖에도 4월 14일 부터 ‘DB형 적립금운용위원회 설치’가 의무화됨에 따라, 기업의 퇴직연금 운용이 중요해 졌다. KB자산운용은 이미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KB타겟리턴OCIO펀드’를 선제적으로 출시해 운용규모 2300억원으로 업계 1위다.


안정형펀드와 성장형펀드가 설정된 후 변동성 장세에도 꾸준한 성과를 보이며,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펀드를 운용하는 가입법인이 꾸준히 늘고 있다.


한편 KB자산운용은 한국, 미국, 유럽 대표 지수 상품의 보수를 대폭 인하하고, 올해 초에는 국내 유망섹터 ETF 보수도 최저 수준으로 인하했다. KBSTARETF를 활용하면 업계 최저보수로 투자할 수 있어 퇴직연금에 가장 적합한 상품이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