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물재생시설공단, 폐자원 활용' 그린수소 생산기술' 개발 본격 추진

하수슬러지 건조화로 연료재 등 활용, 저탄소 발전 등 정책으로 저변확대 한계
하수슬러지 다양한 에너지원 활용, 하수슬러지 가스화 연구 추진

서울물재생시설공단, 폐자원 활용' 그린수소 생산기술' 개발 본격 추진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서울물재생시설공단이 물재생센터의 버려지는 폐자원인 하수슬러지를 활용한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하수슬러지는 하수처리과정에서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찌꺼기로서 서울물재생시설공단이 운영하는 서남 및 탄천물재생센터에서는 1일 평균 약 900여톤의 하수슬러지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물재생시설공단은 그간 하수슬러지를 외부에 반출하지 않고 자체처리하기 위하여 물재생시설 중 소화조의 효율을 높여 하수슬러지의 발생량을 저감하는 한편 하수슬러지 건조시설을 설치하여 건조함으로써 발전용 고형연료로 활용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다. 반면 최근 저탄소 발전 및 미세먼지 저감조치 등에 의해 주요 수요처인 화력발전소의 운영이 통제됨에 따라 건조재 처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연료 이외에 다양한 에너지원으로의 활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서울물재생시설공단은 하수슬러지의 에너지원 활용을 위해 하수슬러지 가스화 연구를 추진한다. 주요 연구과제는 하수슬러지 가스화의 친환경 혁신기술 확보 및 기술상용화, 가스화 후 발생되는 Ash의 처리방안 등으로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하수슬러지 처리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폐자원 활용기술을 선도적으로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7일 폐자원 원료 가스화 기술을 보유한 플라젠과 '하수슬러지 가스화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 기술개발'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연구에 돌입했다.


박상돈 이사장은 “하수슬러지 자주처리, 처리 공정에서의 미세먼지 및 유해 가스 발생량 저감, 수소 에너지 생산 등 친환경 혁신기술 확보를 위한 이번 공동연구에 거는 기대가 크다”며 “국가 탄소중립 정책에 적극 기여하고, 나아가 시민들에게 하수슬러지 처리에 대한 친환경적 이미지를 제고시켜 물재생센터를 에너지 생산 핵심 시설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