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억대 순손실이지만…5개월 새 예금 17조 끌어들인 토스뱅크

예금은 이미 케이뱅크 앞질러
대출 확대로 경영 실적 개선이 과제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토스뱅크가 출범 이후 5개월 만에 수신(예금)액 17조원을 돌파했다. 출범한지 5년 된 첫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를 추월한 것이다. 다만 아직 여신 규모가 부족하고 800억대 적자도 기록한 만큼 추가로 내실을 다지는 성장이 과제로 꼽힌다.


3일 금융업계와 토스뱅크의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토스뱅크는 이자순손실은 112억원을 기록했다. 두 달 동안 수신 잔액 13조7900억원을 달성하며 이자비용으로 424억원을 지출했다. 대출에 대한 이자수익은 312억원으로 집계됐다. 누적순손실은 80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1년 간 직원들에게 지급됐던 급여와 ATM 수수료 등 주로 초기 투자 비용이 540억원에 달한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인터넷은행들도 첫해 모두 손실을 기록한 점을 감안하면 큰 문제는 아니라는 반응이 나온다. 2017년 4월 출범한 케이뱅크는 그해 837억원 가량 순손실을 기록했다. 같은 해 7월 문을 연 카카오뱅크 도 그해 1045억원 규모 순손실을 나타냈다. 이후 이들은 각각 4년, 2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


특히 예금 유치 규모가 첫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를 이미 앞질렀다는 점이 주목된다. 증권사 위탁계좌 여윳돈과 시중은행에 유치됐던 월급통장 등이 옮겨오면서 토스뱅크의 수신액은 17조원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32조5000억원)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케이뱅크(11조6900억원)는 5조원 넘게 웃돌았다.


다만 여신은 아직 부족한 규모다. 2조5000억원으로 카카오뱅크(25조9000억원)는 물론 케이뱅크(7조4900억원)에도 한참 못 미친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규제 영향으로 출범 직후부터 대출이 중단된 두 올해 들어서 재개할 수 있었던 사정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올해 들어 대출을 재개하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18일 기준 여신잔액은 약 2조5000억원 규모로 전년 말 대비 5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중저신용자, 개인사업자 대출 등 에도 진출하면서 순이자마진(NIM)이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