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주요해외법인 지난해 흑자…공장가동률 개선

현대차, 미국공장·브라질법인 3년 만에 흑자 전환
기아, 미국공장 4년만에 흑자

현대차·기아, 주요해외법인 지난해 흑자…공장가동률 개선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유현석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주요 해외법인들이 지난해 흑자를 기록했다. 공장가동률 개선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21일 현대차가 최근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공장 법인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370억원이다. 전년 1조191억원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미국공자은 지난 2019년에도 2282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3년 만의 흑자전환이다. 이와 함께 브라질 법인도 지난해 41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661억원과 47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미국과 브라질이 흑자로 전환하면서 주요 법인들 모두 흑자를 기록했다. 판매를 담당하는 미국법인이 1조285억원이었으며 인도법인(4374억원), 체코공장(4175억원), 터키법인(1985억원), 러시아공장(1721억원), 캐나다법인(1179억원), 호주법인(281억원), 유럽법인(114억원) 등의 순으로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현대차의 해외 실적 호조는 판매 믹스 및 공장 가동률 개선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미국공장의 가동률은 2020년 72.6%에서 지난해 78.8%로, 브라질공장도 2020년 71.7%에서 지난해 89.2%로 각각 올랐다. 또 베트남공장과 국내공장까지 합해 현대차의 지난해 전체 공장 합산 가동률은 94.1%다. 2020년 84.1%보다 상승했다.

기아도 마찬가지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6157억원의 적자를 냈던 미국공장은 지난해 116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미국공장이 흑자로 돌아선 것은 2017년 이후 4년 만이다. 이와 함께 미국법인(8554억원), 슬로바키아공장(2999억원), 러시아법인(2803억원), 인도법인(1859억원), 멕시코법인(883억원) 등 다른 주요 해외법인들도 2020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흑자를 달성했다. 기아의 경우도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판매 믹스 개선이 이러한 흑자 실현의 배경으로 보인다.


반면 현지업체와 합작해 사업을 하는 중국 법인의 경우 2017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이후 계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의 경우 손실폭이 감소했다. 베이징현대는 2020년 1조1520억원 적자에서 지난해 1조129억원 적자로, 둥펑위에다기아는 2020년 8355억원 적자에서 작년 7832억원 적자로 각각 손실이 줄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