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에 600만원 넘게 벌어도…열 중 아홉은 "난 상층 아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권서영 기자] 지난해 가구소득이 600만원을 넘는 고소득자 가운데 10명 중 9명은 본인이 중산층 이하라고 느낀다는 내용의 통계가 나왔다.


1일 통계청의 '2021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가구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사람 가운데 91.1%는 본인의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중' 이하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가구소득 600만원 이상인 경우 조사 대상 가운데 월평균 소득 구간이 가장 높은데도 대다수가 스스로 상층에 속하지 않는다고 인식했다는 의미다.

서울 종로구 세종로 네거리에서 직장인들이 두꺼운 외투를 입고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서울 종로구 세종로 네거리에서 직장인들이 두꺼운 외투를 입고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원본보기 아이콘


이들 가운데 78.3%는 본인이 중층에, 이중 34.7%는 중하층에 속한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이 하층에 속한다고 생각한 응답자의 비율 역시 12.8%로 나타났으며, 상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8.9%에 그쳤다. 이는 지난 2017년 조사 당시 상층에 속한다고 느낀 응답자 비율이었던 10.5%보다 줄어든 수치다.


이러한 현상은 근로소득과 자산소득 간의 격차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근로소득이 많더라도 무주택자는 자신을 상층으로 분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등, 자산 상위 계층의 자산소득 증가 폭이 워낙 커지면서 근로소득이 많은 계층조차도 근로소득에 부여하는 의미가 줄어든 것이다.


통계청의 주택 소유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0년 11월 1일 기준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2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900만원 늘었다. 그러나 주택 자산 가액 기준 상위 10% 가구의 집값은 평균 13억900만원으로 2억600만원 올랐다.



권서영 기자 kwon19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