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등 채권단 "쌍용차 정상화 방안 수립 위해 노력"

"회생절차 개시 전 쌍용차 유동성 문제 조기 해결"
채권단, 쌍용차 '새 주인' 찾기 일조할 것이란 전망도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쌍용자동차의 기업회생 신청으로 산업은행 등 채권단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쌍용차가 자율 구조조정 지원 프로그램도 함께 신청한 만큼 회생절차 개시 전까지 최선의 정상화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계획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은 등 채권단은 우선 법원 결정을 예의 주시하면서 회생 프로그램을 마련할 경우 역할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회생절차를 신청하면 모든 채권ㆍ채무관계가 동결된다"면서 "향후 법원의 결정을 보고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법원이 회생 프로그램을 짜게 될 경우 채권단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쌍용차는 회생 신청과 함께 회생절차 개시 여부 보류 신청서(ARS 프로그램)를 따로 신청했다. ARS 프로그램이란 법원이 채권자들의 의사를 확인한 후 회생절차 개시를 최대 3개월까지 연기해 주는 제도다.


산은 관계자는 "다른 채권단과 함께 최선의 정상화 방안을 찾기 위해 논의할 것"이라며 "회생절차가 개시되기 전 쌍용차의 유동성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는 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만약 법원이 사업을 계속할 경우의 가치보다 청산할 경우의 가치가 더 크다고 판단하면 쌍용차는 청산 절차를 밟게 된다. 이 경우 법원이 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채무가 변제되는데 쌍용차가 15분기 연속 적자였던 만큼 채권단은 대출원리금을 전부 상환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새로운 투자자 유지로 유동성 문제가 해결되면 쌍용차는 기업회생 개시 전 회생 절차를 취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채권단이 쌍용차 새 주인 찾기에 적극적인 뒷받침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등 정부는 전날 "회생절차 신청에도 불구하고 쌍용차 매각 협상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며 "특히 대주주인 마힌드라와 관련 이해 당사자 및 국내외 채권단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좋은 성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