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휴일근로수당 600억 체불"…노동계, 소송 예고

16일 서울 서대문구 서비스연맹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마트지부 소송돌입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6일 서울 서대문구 서비스연맹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마트지부 소송돌입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이마트지부는 16일 오전 11시 기자회견을 열고 이마트가 3년간 근로자들의 휴일근무수당 600억원가량을 지급하지 않았다며 체불임금 청구 소송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우리는 1987년 6·29 선언 이후 대통령을 직선으로 뽑아왔습니다. 하지만 30년이 지난 지금도 이마트는 근로자대표를 법의 모호함을 이유로 '3중 간선제'로 선출하고 있다"라며 "이마트를 시작으로 근로자대표제도의 문제점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고 주장했다.

근로자대표는 사원들의 임금, 근로조건 등에 대한 합의를 진행할 권한이 있는 자를 의미한다. 과반수 노동조합의 대표자 또는 과반수 노동조합이 없을 경우 전체 근로자 과반 이상의 지지를 모아 선출돼야 한다. 노조는 이마트가 근로자 과반의 의사를 모아 선출하는 방식 대신 각 점포 사업장대표 150여명이 간선제로 뽑은 전사 사원대표를 근로자대표로 내세워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이어 노조는 "근로기준법 56조 2항에 따르면 휴일근로시 통상임금의 150%를 지급하게 돼 있지만, 회사는 적법하지 않은 근로자대표와의 협의를 통해 대체휴일 1일을 사용하도록 하고 임금을 100%만 지급해 인건비를 줄여왔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이마트가 2012년부터 이런 수법으로 휴일근로수당을 대체휴일로 대체해왔으며, 체불임금 청구가 가능한 최근 3년 기준으로만 최소 600억원의 수당이 지급되지 않았다고 추산했다.

노조는 "6월 중 소송인단을 모집하고, 7월 중 체불임금을 청구하는 소송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노동부에 근로자대표 선출 과정에 대해서도 진정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마트는 현재 근로자대표가 적법하게 선정됐다며 노조 주장을 반박했다.


이마트 측은 "고용노동부는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 노사협의회 근로자 위원을 근로자 대표로 볼 수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면서 "따라서 과반수 노조가 없는 이마트는 노사협의회 전사 사원대표를 근로자 대표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마트 측은 이어 "1999년부터 현재까지 적법하게 선정된 근로자대표인 노사협의회 전사 사원대표와 임금을 비롯해 복리후생 증진과 관련된 여러 사항을 협의해 오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