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대응사격때 원격 K-6 작동안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북한군이 3일 강원도 철원 중부전선 비무장지대(DMZ) 우리측 감시초소(GP)에 총격을 가했지만 우리 군의 K-6 중기관총 원격 발사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3일 오전 7시41분쯤 우리측 GP를 향해 총격을 가했다. 당시 근무자는 우리 군 GP 건물 외벽이 피탄되는 것을 감지했다. 근무자는 비상벨을 눌러 피탄 사실을 GP 전 장병에게 알렸고, 7시 45분 장병의 전원 현장투입이 완료됐다.

당시 중사인 A 부GP장은 탄흔 3개를 확인하고 7시 56분 대대장에게 이를 보고했다. 대대장은 대응사격을 지시했다. 하지만 GP장이 8시 1분 K-6 사격을 하려 했으나 공이 불량으로 사격이 되지 않았다. K-6 부사수가 현장에서 3차례 응급조치를 했지만 사격이 되지 않았다. 이에 연대장은 8시 3분 K-3 기관총으로 대응 사격을 지시했다. 이어 사단장은 14.5㎜ 고사총 대응 화기인 K-6를 수동으로 발사하라고 지시해 군은 K-6를 추가로 발사했다.


군 관계자는 오발 가능성에 대해 "북한군 임무교대 시기, 영농활동, 철모를 안 쓰고 돌아다녔다는 점들을 감안하면 우발적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외에도 우발적 상황임을 뒷받침하는정황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현장 지휘관 논란에 대해서는 "지휘관은 중대장급 이상을 의미하며, 현장 지휘관은 대대장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