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살리기에 불붙이는 印 모디 총리…325조원 부양책 발표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타격을 막기 위해 인도 국내총생산(GDP)의 10% 수준인 20조루피(약 325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내놨다. 모디 총리는 인도 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봉쇄 조치를 점진적으로 완화할 준비를 하며 경제 살리기에 힘을 쏟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더타임스오브인디아와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모디 총리는 이날 TV로 생중계된 대국민담화를 통해 이러한 경기부양책을 공개하고 "이는 인도의 자립을 위한 중요한 조치"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구체적으로 어떤 부양책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토지, 노동, 유동성 투입, 법적 기반 마련 등에 자본을 집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세계에서 두번째로 인구가 많은 인도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지난 3월 25일부터 강도 높은 봉쇄 조치를 취했으며 지난 3일 2주 연장했었다. 봉쇄 기간에는 학교, 교통 서비스, 상업·산업시설이 모두 폐쇄됐고 주민 외출과 주 간 이동도 엄격히 제한됐다. 현 봉쇄 조치는 17일에 종료된다. 모디 총리는 전날 주총리들과 화상회의를 하며 18일 이후 일부 봉쇄 조치를 완화할 뜻을 내비쳤다.


인도에서는 이날 7만756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 누적 7만명을 넘었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3604명 늘었다. 사망자도 87명 추가돼 누적으로 2293명이 됐다. 현재 인도의 코로나 감염자는 뭄바이, 뉴델리, 아메다바드, 첸나이 등 대도시에서 집중적으로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증가세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모디 총리가 이처럼 경기부양에 집중하는 이유는 올해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지난주 제조업과 자영업자들에 대한 제한 조처가 일부 완화됐으나 4월 중 인도 내 1억2200만명이 일자리를 잃었고 소비자 수요도 감소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인도의 올해 GDP 증가율을 2.0%로 전망했다. 다만 코로나19 상황으로 40년 내 첫 연간 역성장을 기록할 가능성도 남아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