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투표 의향 조사 중, 결과 따라 특단 대책 강구"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투효 의향을 묻는 유권자 의식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저히 낮은 수치로 결과가 나올 경우 특단의 대책을 강구할 방침이다. 초유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 치러지는 선거라 역대 최저 투표율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선관위는 격리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별도 투표소 운영을 주된 대책으로 추진하려 했으나, 투표소로 가는 이동 역시 불가하다는 게 현재 보건당국의 입장이다.


25일 선관위 관계자는 "현재 한국갤럽을 통해 유권자 의식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다음달 초쯤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과거 총선 조사에서는 60~70% 정도로 집계됐는데 그보다 훨씬 낮게 나온다면 특단의 대책을 다시 찾아야 할 것이다. 결과에 따라 정치권과 보건당국 등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투표소 방역 외에도 투표자 마스크 착용, 발열 체크, 줄 간격 1m 이상 유지 등 특별 운영방침을 지난 19일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감 때문에 투표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일반적이다.


마스크 지급이나 사전투표 기간 연장 등 방안이 논의되기도 했으나 예산과 수급 문제, 법 개정의 어려움 등으로 성사되지 못했다. 선관위는 코로나19 확진 등으로 자가격리된 유권자들에 한해 별도 투표소를 운영하는 방안이 가장 효과적이라 보고 있으나, 이동 제한 조치의 예외적 완화가 전제돼야 한다.


선관위 관계자는 "확진으로 인한 자가격리자가 5400명가량 되는데, 이 분들이 별도로 투표한다면 유권자들의 불안을 많이 완화시킬 것"이라며 "보건당국과 계속 협의해봤지만 투표 목적에 한해 이동 제한을 완화하는 것 역시 어렵다고 난색을 표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투표 의향 조사 결과가 현저히 낮게 나온다면 다시 한 번 논의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역대 총선 투표율을 보면 2008년 46.1%, 2012년 54.2%, 2016년 58%로 계속 높아졌지만, 이번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 15일 치러진 프랑스의 1차 지방선거 기권율은 56%로 2014년 지방선거에 비해 20%포인트나 높아졌다. 영국의 지방선거와 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은 일정이 연기되기도 했다.


이번 총선은 코로나19 외에도 비례 전용 정당을 놓고 '꼼수' 논란이 거세다는 점에서 더욱 우려된다. 세대별 투표율에 미칠 영향도 관심사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투표일까지 확진자 수가 얼마나 줄어드느냐에 따라 투표율이 달라질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노년층의 투표율이 낮아질 수 있지만, 정부 대처에 대한 불만을 가진 이들은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투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