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총리 "상황에 따라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 검토"

정세균 국무총리

정세균 국무총리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정세균 국무총리는 15일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싸움이 현재 진행중인 만큼, 지역의 피해상황에 따라 (특발재난지역) 추가 지정도 계속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사고수습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오늘 대통령님께 대구와 경북 청도, 경산, 봉화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정식 건의드렸고, 대통령님께서는 해당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즉시 선포하셨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갑작스러운 코로나19 확산은 대구와 경북에 큰 상처를 남겼다"며 "대구와 경북 청도, 경산, 봉화지역에 확진자의 83%, 사망자의 87%가 집중되면서 심각한 인적 피해가 발생했고, 277만 지역주민들의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이 멈춰섰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감염병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한 것은 전례가 없다"며 "그만큼 이번 결정에는 정부가 대구 경북의 위기를 국가적 차원에서 조속히 극복하려는 의지가 담겨져 있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이어 "대구·경북의 피해 복구와 함께 시급한 과제 중 하나는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이고 계시는 의료진에 대한 보호와 지원"이라며 "감염의 위험을 무릅쓰고 바이러스와 가장 가까이서 싸우는 의료진에게 마스크, 방호복과 같은 물품은 사기의 문제일 뿐만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코로나19와의 싸움은 장기전을 각오해야 하고, 세계 각국이 함께 치르는 전쟁이 됐다"며 "의료진을 어떻게 보호하고, 의료자원을 얼마나 충분히 확보하는 지가 앞으로 싸움의 승패를 가르는 관건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에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현장의 방역 물품 수급에 문제가 없는지 다시 한번 살펴봐 주시고, 의료진에 대한 보호와 지원방안을 강구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