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산업연합회, '코로나19 기업애로 지원센터' 운영

완성차·부품업체 등 수시 모니터링

車산업연합회, '코로나19 기업애로 지원센터' 운영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지희 기자] 자동차산업연합회는 오는 10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애로조사와 대응책 논의를 위해 '코로나19 기업애로 지원센터'를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센터는 자동차산업연합회 소속 4개 단체(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한국자동차연구원,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와 소속회원으로 구성되며, 사무국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설치된다. 단체별로 완성차업체, 1차·2차·3차 부품업체, 부품소재 관련 업체 동향을 수시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앞서 자동차산업연합회는 지난 6일 운영위원회에서 업계의 공장 가동 상태와 방역 시스템 구축현황, 부품 공급 상황 등을 점검하고 센터의 운영계획을 확정한 바 있다.


실제 지난달 국내 완성차 생산은 중국산 와이어링 하니스 부품 수급 문제로, 전년 동기 대비 26.4% 감소했다. 다만 지난달 중순 이후 부품 공급이 확대되면서 이달 초 국내공장 가동률은 80~9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일부 완성차 업체들은 물량 조정을 위한 평일 야간 및 주말 특근을 아직 실시하지 않고 있다. 공장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추가 발생할 경우 언제든 공장 가동이 다시 중단될 수 있는 탓이다.

부품업계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완성차 업체의 가동 불안정과 일부 업체의 재고 물량 조정 등으로 평균 가동률은 50∼70%수준에 불과하다. 코로나19가 장기화 될 경우 납품량, 매출액 감소로 경영악화가 우려된다.


특히 대구·경북은 자동차 부품업체가 밀집된 만큼 이들 지역의 공장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연쇄적 가동 중단이 불가피하다. 자동차 1차 부품업체(831개)의 37% 정도가 대구·경북(117개)과 부산·경남(188개)에 몰려 있다.


자동차산업엽합회는 센터에 접수되는 구체적인 애로 등을 정부, 국회에 신속히 전달하고 해결책을 강구한다는 방침이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자동차산업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선 민·관·기업의 유기적 협력이 절실하다"면서 "특히 부품업계가 코로나19 기업애로 지원센터를 적극 활용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지희 기자 way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