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19 여파 수출지원' 위해 경영자금 1354억원 투입

해수부, '코로나19 대응 수산분야 종합 지원대책'

정부, '코로나19 여파 수출지원' 위해 경영자금 1354억원 투입 원본보기 아이콘

[세종=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수출 감소를 겪는 기업을 위해 1354억원 규모의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산분야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대응 수산분야 종합 지원대책'을 마련·시행한다고 9일 발표했다.

우선 해수부는 중국 등으로의 수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자금난을 해소를 위한 긴급경영자금(30억원)과 모든 수출기업을 위한 일반경영자금(1324억 원) 등 총 1354억 원 규모의 수출 지원자금을 신속 지원하기로 했다. 또 중국 등 7개국에서 운영 중인 수산무역지원센터(10개소)를 통해 각종 통관 안내와 법률자문 등을 적극 지원하고, 친환경 인증(ASC 등) 취득, 샘플 통관비 지원과 같이 무역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도 신속하게 해소할 계획이다.


해외시장의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우리 수산식품의 판촉·마케팅 지원도 추진하기로 했다. 중국 타오바오 등 주요국의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한 판촉행사를 바로 실시하는 한편, 베트남·말레이시아 등에서 홈쇼핑 방송 판매도 지원한다.


우리 수산물 소비와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국내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고, 지역 수산업체를 위한 판로 개척 지원에도 나선다.

우럭과 넙치 등 양식수산물에 대한 공중파·SNS 간접광고(PPL)를 지원하고, 영세 어업인이 공영홈쇼핑에 입점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물론 전자상거래 진출과 관련된 컨설팅을 적극 지원한다. 아울러 온·오프라인 유통채널과의 협업을 통해 이달의 수산물을 홍보하고, '어식백세 캠페인'을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해양수산창업투자지원센터(6개소)와 어촌특화지원센터(10개소)를 통해 지역의 수산기업과 어촌공동체의 온라인 등을 통한 판로 개척 밀착 지원도 나선다. 소비자가 지역의 위판장에 있는 수산물을 영상으로 직접 확인해 온라인으로 바로 주문할 수 있는 '위판장 캠마켓(3개소)'도 조기에 구축해 수산물 직거래를 촉진하기로 했다.


어업인 경영 안정화 지원을 위해선 총 3조4800억원에 달하는 수산분야 정책금융을 상반기에 80%(2조8000억원)까지 신속하게 공급하기로 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매출 감소 등의 피해를 입은 어업인을 위해 2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정자금을, 경영위기에 처한 어업인을 위해 100억 원 규모의 경영회생자금을 지원한다.


또 해수부는 재정당국과의 협의를 거쳐 코로나19 피해 어업인 등에 지원하는 주요 정책자금의 금리를 1년간 0.5%포인트 인하하는 등 어업인의 이자부담을 경감하기로 했다. 최근의 착한 임대료 운동에 발맞춰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수산물 도매시장(18개)과 수산식품거점단지(13개)에 입주한 어업인(소상공인)이 부담하는 임대료도 인하(재산가액 5→최저 1%)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수산분야의 성장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수산분야 예산 조기집행, 사회간접자본(SOC)·투자 확대 및 공익형 직불제 도입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할 예정이다. 확장적 재정의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2020년 상반기 내에 수산·어촌분야 예산(2조4671억 원) 중 62% 이상을 조기 집행한다. 특히 어촌뉴딜 300 사업과 내륙어촌 재생 시범사업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고, 아쿠아팜 4.0 및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를 통한 스마트 양식산업 육성, 수산벤처창업펀드 결성·운용, 수산식품 클러스터·거점단지 조성을 통한 식품산업 육성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수산분야 SOC 및 투자를 확대한다. 또 수산업·어촌의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직불제법을 조기에 마련해 수산자원 보호와 친환경 수산물 생산 등과 같은 공익적 활동을 수행하는 어업인들을 지원하는 수산분야 공익형 직불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수산업은 먹거리와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산업인 만큼, 이번 종합 지원대책을 통해 관련 업계의 애로를 적극 해소하고, 수산분야의 경제활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코로나19로 인한 수산업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업계 애로사항 청취,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총력을 다해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수부는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문 장관 주재로 수산분야 업·단체, 관련 협회 및 유관기관 등과 간담회를 열어 이번에 수립한 지원대책을 설명하고 추가적인 건의사항 등을 청취할 예정이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