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인권변호사 출신 文대통령, 강제징용 피해자 이익 최우선"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인권변호사 시절의 경험 때문에 일제 강제징용 문제에서 '피해자 중심주의'를 고수하고 있다고 11일 요미우리신문이 주장했다.


요미우리는 '한일의 현장, 문 대통령의 실상'이라는 주제의 시리즈를 시작하면서 '전 징용공(강제징용 피해자의 일본식 표현)의 이익 최우선'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신문은 "한일관계를 위태롭게 하는 문 대통령의 행동 배경을 검증한다"면서 2000년 문 대통령이 당시 대표 변호사로 있던 부산종합법률사무소가 강제징용 소송에 관여하게 된 상황을 전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인권변호사로서 "좋은 일이니 돕자"면서 원고의 대리인 중 한 명으로 나섰고 구두변론에도 출석했다는 것이다.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한 당시 소송은 한국 법원에서 일본 기업을 피고로한 첫 재판이었다. 문 대통령의 이러한 경험이 강제징용 관련 피해자 중심주의가 세워진 배경이 되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강조했다.


요미우리는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이 "피해자 중심주의는 인권변호사였던 문 대통령의 신념이자, 철학"이라면서 "(다른 생각을) 강요하는 것은 어렵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이어 문 보좌관은 국가 간 합의를 준수해야 한다는 일본의 자세를 두고 "국가 중심주의"라고 부르면서 현재 한일 대립은 "국가 중심주의와 피해자 중심주의라는 두 철학의 충돌"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2018년 11월 한국 대법원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미쓰비시중공업 등 일본 기업이 배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것을 두고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 위반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