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10년 공공임대 1500가구 조기 분양 추진한다

감정평가법인 2곳은 주민들이 직접 선정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분양가 정해질 듯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서울 강남권에 공급된 10년 공공임대 아파트들이 상당부분 조기분양될 전망이다.


1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 따르면 강남3구에 10년 공공임대로 공급된 아파트와 도시형 생활주택 1488가구가 조기 분양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10년 공공임대 아파트는 입주자가 10년 동안 임대해서 거주하다가 그 이후 분양을 받을 수 있는 형태의 공공임대 방식이다. 하지만 입주 5년이 지나면 LH 등 공급자와의 협의를 통해 주민들이 조기 분양을 받을 수도 있다.


당초 LH는 10년 공공임대의 조기 분양전환을 거부해왔다. 10년 임대의 분양가는 2곳의 감정평가법인이 내놓은 감정평가액의 산술평균으로 정해지는데, 이 가격은 시간이 지날수록 집값 상승과 함께 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곳 주민들을 중심으로 분양가 산정 논란이 갈수록 거세지자 LH 등은 조기 분양전환 쪽으로 방향을 올린 것으로 보인다.

실제 판교와 분당 등지에서는 임대 기간 10년을 채운 뒤 분양 받을 때가 되니 분양가가 너무 높다는 입주민들의 불만이 많았다. 일각에선 분양가 산정 방식의 변경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강남구에서는 총 1242가구가 조기 분양전환된다. 세곡동 보금자리주택지구에 공급된 10년 공공임대 아파트 강남7단지(680가구)와 강남5단지(419가구), 도시형생활주택인 강남8단지(96가구) 등이다.


서초구에서는 서초 보금자리지구에 공급된 서초4단지 202가구가, 송파구에서는 도시형생활주택 44가구가 조기 분양전환이 추진된다.


강남구와 서초구 등은 분양가 산정에 기반이 되는 감정평가법인 2곳을 주민들이 직접 선택하게 할 계획이다. 감정평가법인 선정 절차는 관련 법령에 명확하게 규정돼 있지 않아 지자체의 재량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들이 직접 뽑은 감정평가법인들이 평가를 할 경우 시세보다 매우 저렴하게 분양가가 책정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