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재철 금투협회장 "4대 과제 구체적 실현 위해 노력하겠다"

나재철 금융투자협회 회장이 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앞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나재철 금융투자협회 회장이 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앞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금융투자업계에 4대 과제가 놓여있다 생각합니다. 이들이 보다 구체적인 정책으로 실현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나재철 금융투자협회장은 9일 낮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4대 과제로는 타업권이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금융투자상품 솔루션 발굴·제공, 혁신산업 관련 기업 육성을 위한 모험자본 조달, 신사업 개발, 금투산업의 글로벌 변모 등이 꼽혔다.


우선 모험자본과 관련해서는 핵심 자금중개사인 증권사의 모험자본 확대를 위해 NCR 제도 등 투자은행(IB) 업무 역량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증권사는 2018년 자본시장을 통해 중소기업과 혁신기업에 21조원이 넘는 자금을 공급한 바 있다. 일반 투자자가 혁신 벤처기업에 간접 투자하는 기업성장투자기구(BDC) 등을 활용한 개인 모험자본 투자 확대도 추진한다.


국내 금투산업을 글로벌 산업으로 바꾸기 위해 증권사 해외투자 인프라를 개선한다.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해외법인에 대한 신용공여 허용관련 입법의 국회 통과를 지원하고, 외화증권 브로커리지 업무의 효율성과 제도 등을 점검·개선해 브로커리지 업무의 글로벌화를 지원한다.

이날 간담회에서 나 협회장은 정부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규제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그는 "이번 정부의 PF 규제는 부동산투자 쏠림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생산적 분야로 자금 물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판단된다"며 "정부의 정책 중 하나인 부동산 직접투자를 간접투자 수요로 전환하기 위해서도 증권사의 역할은 여전히 필요한 점은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를 단순히 반대하기 보다는 국민경제와 투자자 보호 차원을 고려한 '부동산 금융의 건전한 발전방안'을 정부와 함께 모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자본시장 세제 선진화도 빼놓지 않았다. 국민 자산관리 지원과 모험자본 공급을 위해 자본시장 세제 선진화가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우선 주식 거래세를 양도소득 과세체계로 전환하도록 하고, 금투상품 전반에 대한 손익통산 허용과 손실이월공제 도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기금형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도입 등 '퇴직연금 제도 개선'과 관련해 나 협회장은 "현재 퇴직연금은 2018년 기준 5년 연평균 수익률이 1.9%에 불과할 정도로 낮은 수익률이 고착화 되어 있다. 이래서는 국민의 노후를 대비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이 국민의 노후 대비를 위해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며 "지난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기금형 퇴직연금과 디폴트옵션 관련 법안을 발의했으며, 협회는 법 개정 지원을 위해 노력함과 동시에 퇴직연금을 통해 근로자의 노후의 자산이 자본시장을 통해 증식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나 협회장은 최근 미국과 이란 간 분쟁으로 국내 시장이 요동치는 데 대해 협회 차원의 역할이 있을 것임을 얘기했다. 그는 "이란발 지정학적 위기감이 심화되고, 주식시장 등에 여파가 지속될 경우에는 조속히 시장안정을 위해 협회장으로서 조치를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