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준법감시위원 면면…'삼성 비판 목소리 인사들 대거 포함'

보여주기식 아닌 법적·윤리적 한단계 도약할 기회

삼성그룹준법감시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지형 전 대법관(법무법인 지평 대표변호사)이 9일 서울 서대문구 지평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삼성그룹준법감시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지형 전 대법관(법무법인 지평 대표변호사)이 9일 서울 서대문구 지평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삼성그룹 준법감시위원회가 9일 출범했다. 김지형 전 대법관을 위원장으로 법조계, 시민사회, 학계 인사들이 외부 위원으로 활동한다.


이날 김 전 대법관이 공개한 준법감시위 위원단의 특징은 독립기구로서의 견제와 감시 기능을 발휘할 전문성과 균형감으로 요약된다. 위원들 중에는 평소 삼성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냈던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위원회 출범이 법원의 요구에 따른 보여주기식 행위가 아니라 삼성이 법적, 윤리적으로 한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역할을 할 것이라는 평가다.


삼성 준법감시위 초대 위원장을 맡은 김 전 대법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위원 선정에는 몇 가지 기준을 적용했는데 우선 외부위원을 압도적 다수로 배정하려고 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는 위원회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라며 "실제로 위원장 포함 전체 내정자 7명 중 6명이 외부위원이고 회사 측 내정자는 단 1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외부위원도 영역별 전문성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우리 사회의 대표성을 확보하려고 했다"며 "저를 포함해 2명은 법률 전문가에 속하며 다른 4명 중 2명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분야 또는 기업의 지배구조 분야의 학계 전문가"라고 소개했다.


그는 또 "마지막 2명은 시민사회와 소비자를 대표한다"며 "이인용 내정자 한 명을 제외하고 내정자 5명 모두 저와는 초면인 사이"라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그는 "최선의 적임자를 찾아 여러 차례 간곡한 청을 드렸다"며 "내정자 모두 위원회 참여를 수락하기까지 쉽지 않은 결정을 해줬다"고 말했다.


실제로 위원들은 사회 각계에서 활동하며 삼성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인물들로 구성됐다. 김 위원장과 함께 법조계를 대표하는 봉욱 내정자는 검사 출신으로 검찰에서 대검차장을 역임했다. 그는 평소 대기업의 부패범죄를 수사한 경험이 많고 기업의 준법경영에 많은 관심과 풍부한 식견을 갖고 있다는 평가다.


시민사회에서는 권태선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고계현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사무총장이 선정됐다. 한겨레신문 기자 출신인 권 내정자는 언론인으로서의 높은 경륜을 인정받았다. 언론계 은퇴 후에는 시민단체 활동에 투신했다.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해 재벌에 대한 엄벌을 촉구하는 운동을 이끌기도했다. 우리 사회 전반의 유의미한 변화를 선도하는 비판적 안목과 합리적 시각을 대변할 것이라는 것이 김 위원장의 진단이다.


고계현 내정자는 경실련 사무총장을 최장수 역임했다. 삼성을 비롯한 재벌의 지배구조, 경영권 승계, 노사관계 이슈에 비판적인 의견을 꾸준히 발표하면서 개혁을 줄기차게 주창해 온 경험이 있다.


학계에서는 심인숙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우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경영전문대학원 교수가 위원직을 수락했다. 심 내정자는 변호사로 기업법무 업무를 수행한 것을 비롯해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그리고 금융감독원, 공정거래위원회 등에서 설치한 여러 위원회 위원, 특히 금융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금융, 증권, 자본시장, 공정거래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김 내정자는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사무관으로 공직생활을 잠시 했고 이후 재무, 금융 분야를 전공하는 학자로서 학술 활동을 활발히 해왔다. 기업의 지배구조 이슈와 정책에 관해 진취적인 다양한 이론과 주장을 많이 펼치는 전문가로 알려졌다. 특히 재벌의 과동한 '사적 편익' 추구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지적해 왔다.


삼성 내부에서는 이인용 삼성전자 사회공헌업무 총괄고문이 참여한다. 이 내정자는 MBC에서 보도국 부국장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언론인으로 활동했고 삼성으로 옮긴 후 그룹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팀장(사장)을 역임했다. 김 전 대법관은 "회사 측 이 내정자도 예외 없이 직접 지정했다"고 부연설명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