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닭은 웁니다…키울수록 손해, 사료값도 부담 '농가의 비명'(종합)

돼지농가…팔면 팔수록 밑지는 장사
수입량 사상최대…도·소매 가격 뚝
계란값 계속 떨어져…닭값도 25% 뚝

돼지 우리. 기사와는 상관없음.

돼지 우리. 기사와는 상관없음.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이선애 기자] "돼지 한 마리 사육에 한 두푼 들어가는 것도 아닌데, 제 값도 받지 못하고 손실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형편이 너무 어려운 양돈농가는 도산할 수 밖에 없어요."(전북 남원 양돈농장 A대표)


"최근 공급 증가로 계란 가격이 하락되면서 산란계 농가들의 어려움도 커지고 있어요. 사료비값이 많이 올라 외상 기간도 길어지면서 인근 농가 중에서는 파산위기에 처한 곳도 많습니다. " (경북 영주 산란계농장 B대표)

소비둔화와 공급량 증가로 돼지고기와 계란 가격이 크게 떨어지면서 사육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생산원가에도 못 미치는 출하가격으로 양돈ㆍ산란계 농가들은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으며 밑지는 장사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에도 가격 회복이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돼 농가의 어려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26일 농촌진흥청 및 양돈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115㎏ 돼지 한 마리의 평균 가격은 27만1000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다. 농가에서 돼지 한 마리를 키우는데 들어간 생산원가는 평균 36만7000원. 한 마리 출하당 9만원가량 밑지는 장사를 하고 있는 셈이다.


완주에서 양돈농가를 운영 중인 최운수(66ㆍ가명)씨는 "돼지 한 마리를 키우려면 사료비용에다 각종 관리비용이 만만찮게 들어가는데, 가격이 떨어질대로 떨어져 사료값 감당하기도 버겁게 됐다"고 푸념했다.

대형마트의 삼겹살 할인행사. 기사와는 상관없음.

대형마트의 삼겹살 할인행사. 기사와는 상관없음.

원본보기 아이콘


실제 도ㆍ소매가격은 크게 떨어졌다. 대한한돈협회와 농협중앙회 등이 발표한 돼지고기 가격 지표에 따르면 2월 돼지 평균 도매가격(탕박 기준ㆍ1㎏)은 314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111원보다 23.5% 하락했다. 지난해 전체 평균 4302원보다 26.9% 떨어진 수준이다. 이달 평균 도매가격도 3656원을 기록, 지난해 전체 평균보다 15% 하락했다. 소매가격도 내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집계한 25일 기준 돼지고기(삼겹살 국산냉장, 중품ㆍ100g) 가격은 1725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1796원보다 4.0% 하락했다. 5년 평년 기준으로는 8.7% 떨어진 가격이다.

돼지고기 가격하락은 수입이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돼지고기 소비량은 123만t으로 2017년보다 5만6000t 늘어났다. 2016년과 비교하면 13만여t 더 소비했다. 수입량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돼지고기 수입량은 46만t으로 사상 최대였다. 국산 돼지고기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66%까지 떨어졌다. 시장점유율이 70% 이하로 떨어진 것은 구제역 등의 상황을 제외하고는 지난해가 처음이다.

생닭. 기사와는 상관없음.

생닭. 기사와는 상관없음.

원본보기 아이콘


산란계 농가의 사정도 비슷하다. 계란 가격은 계속 하락하는 반면 생산비용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계란을 더 낳을 수 있는 닭을 도축하는 농가들이 속출하는 상황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산하 농업관측본부에 따르면 올해 1~2월 산란 성계(노계) 도태 마릿수는 전년 대비 36.6% 증가한 904만마리를 기록했다. 평년과 비교하면 60.4%나 증가한 수치다. 월 평균 약 450만마리가 도태된 것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농업관측본부는 "경영비(10개당 1062원)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계란 가격 약세가 장기화되면서 산란 성계 도태 의향이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산란계는 태어난 지 20개월이 지나면 생산력이 떨어져 도축되는데, 이 과정을 도태라고 부른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농가들은 21~22개월은 돼야 노계를 도태시키곤 했지만 이 기간이 올해는 19.1개월로 줄었다. 20개월이 채 되지 않아도 산란계를 도축하는 것이다.

기사와는 상관없음.

기사와는 상관없음.

원본보기 아이콘


눈물나는 농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계란값은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다. 지난달 계란 평균가격은 전년 대비 20.3% 하락한 10개당 711원을 기록했다. 이달 들어 계란 산지가격이 699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0.7% 상승했지만, 여전히 평년(1182원)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연초 1㎏당 2000원까지 치솟았던 육계 가격도 이달 들어 1560원까지 하락했다. 3월1~22일 생계유통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 기준 1560원을 기록했다. 지난 1월 1㎏당 2107원이었던 생계 유통가격이 3개월만에 25% 하락한 셈이다.


향후 가격회복에 대한 전망도 어둡다. KREI 관계자는 "올 4~8월까지 돼지 사육마릿수가 꾸준히 늘면서 등급판정 마릿수 예상치 역시 전년 동기보다 2.0% 증가한 693만 마리로 여름까지 돼지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육계 도계 마릿수 역시 1% 내외로 증가하면서, 내달 육계 가격은 1㎏당 1300~1500원 사이에서 형성될 전망이다. 농업관측본부는 6월에는 육계 가격이 1㎏당 1000원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