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유통결산①]최저임금 폭탄에 곡소리 난 유통가…"내년도 걱정"

[2018유통결산①]최저임금 폭탄에 곡소리 난 유통가…"내년도 걱정"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 2018년 무술년, 유통업계는 그 어느 때보다 다사다난한 해를 보냈다. 연초부터 몰아친 최저임금 인상 파고를 견뎌야 했고 고용 한파와 실물경기 위축의 악재를 넘어야 했다. 정부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에 따라 사라졌던 중국인 단체관광객(요우커)들은 다시 돌아오고 있지만 예전 수준을 회복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임금인상 후폭풍에 따른 가격 인상과 소비 양극화가 추세적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의 각종 규제 강화로 업체들은 운영 전략을 다시 짜야 했다. 소비 트렌드가 온라인으로 바뀐 것도 전략 수정의 요인이 됐다. 유통 공룡들도 온라인 사업을 강화하면서 업계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아시아경제는 유통 결산 시리즈를 통해 올해의 이슈들을 되짚어본다.<글 싣는 순서>
1. 최저임금 폭탄에 곡소리 난 유통가

2.'안 오른 것이 없다' 가격 인상품목 역대 최대

3.갑을 프레임에 갇힌 소비자…유통 대못질 봇물

4.'소비양극화 심화'싸거나 아주 비싸야 팔린다

5.'손가락 전쟁' 온라인으로 옮겨간 장바구니

[2018 유통결산①]영업포기 편의점 급증..상생지원 탓 본사 영업이익도 반토막
자영업 매출 감소로 휴,폐업 속출..내년 2차 파고 불보듯


시간당 7350원.최저임금은 올 한해 산업계 전반을 뒤흔든 '핫이슈'였다. 정부는 지난해까지 시간당 최저임금을 매년 7.5%씩 인상했다. 그러나 지난해 7350원으로 16.4% 대폭 올리면서 진통이 컸다. 특히 최저임금에 준하는 시급을 받는 고용자들이 많은 유통산업의 충격은 예상보다 컸다. 가장 직격탄을 맞은 곳은 편의점과 외식업종이다. 두 업종은 야간 영업 시스템과 시간제 아르바이트(알바)생을 고용할 수 밖에 없는 업종 특성에 따라 인건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당연히 점주들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문제는 시장 포화, 임대료 인상, 불경기 등으로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저임금 인상 폭탄이 덮쳤다는 것이다. 편의점의 경우 시간제 아르바이트 직원들을 줄이고, 24시간 영업을 포기하는 점포가 속출했다. 알바생 대신 가족 단위로 편의점을 운영하는 점주들이 늘어나서다.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지원책인 일자리안정기금도 알바생이 자주 그만두는 탓에 4대 보험 가입을 꺼리는 편의점주들에겐 무용지물이었다.

본사도 어려워지긴 마찬가지. 인건비 상승에 따른 손실을 보전해주기 위해 상생지원금을 확대하며 비용이 커졌다. 실제 지난해(1~10월) 영업이익률이 4.5% 에 달했던 BGF리테일은 올 상반기 2.97%로 반토막났다. 같은 기간 GS리테일 편의점부문은 3.3%에서 2.7%로 낮아졌다. 상반기 세븐일레븐의 영업이익률은 1.09%로 1%대가 위협받고 있다. 매출이 소폭 늘거나 제자리인 상황에서 영업이익이 줄면서 영업이익률 하락으로 이어진 것이다. BGF리테일과 GS리테일의 올해 상생지원금 규모는 각각 700억~800억원에 달한다
근접 출점을 제한하는 편의점 업계의 자율규약이 18년 만에 부활한 4일 서울 시내에 편의점들이 영업을 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근접 출점을 제한하는 편의점 업계의 자율규약이 18년 만에 부활한 4일 서울 시내에 편의점들이 영업을 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원본보기 아이콘


편의점 출점 거리제한도 18년만에 부활했다. 무분별한 출점을 막아 편의점주들의 경영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최저임금 인상의 역풍을 막기 위해 정부가 불공정 거래를 조장한다는 비판도 함께 나왔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상품 납품과 관계없이 이익을 공유하는 편의점은 가맹점이 살아야 회사도 살수 있는 구조"라면서 "카드 수수료 인하, 세제개편, 출점제한 등 다양한 대책들이 마련되고 있지만 결국 핵심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충격을 어떻게 직접적으로 만회하느냐 하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외식업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도 최저임금 후폭풍에 몸살을 앓고 있다. 편의점처럼 알바생을 대폭 줄이고 야간 영업 시간을 단축하는 곳이 늘어났다. 이는 매출로 직결됐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최근 우리카드 222만개 가맹점의 카드결제 실적을 분석한 '우리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자영업 동향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영업 집중업종의 올해 1~9월 개별 점포당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0.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 집중업종은 전체 가맹점 중 자영업자 비율이 높은 업종으로 170만개 가맹점이 이에 분류된다. 요식업을 비롯해 음식료판매(제과점, 정육점 등, 숙박 등이다. 전체 가맹점의 76.7%에 해당하는 비중이다. 이들 업종의 매출이 감소한 것은 최근 5년래(2014~2018년) 처음이다. 휴ㆍ페업도 속출했다. 지난 9월 기준 휴ㆍ폐업 비율이 31.1%에 달했다. 보고서는 매출감소와 인건비 등의 비용 상승이 맞물리며 휴ㆍ폐업이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

인건비 부담을 대체하기 위해 무인화 도입도 전 업종으로 급격히 확산됐다. 세븐일레븐은 점원이 없는 자판기형 편의점인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를 운영하고 있고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고객 스스로 결제할 수 있는 'CU 바이셀프' 앱을 개발했다. 대형마트와 패스트푸드 전문점에서는 이미 무인계산대가 상용화 중이다. 결국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문재인정부의 국정과제인 일자리 창출에 걸림돌이 되는 부메랑이 된 셈이다.

최저임금 인상 패닉은 올해로 끝나지 않을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 10.9% 오른 8350원으로 책정됐기 때문이다. 올해보다는 인상률이 둔화됐지만 여전히 두자릿수 인상이다. 유통업계는 정부가 쏟아낸 땜질식 대책들의 효과가 장기화되기 전에 2차 파고가 몰아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내년 최저임금 상승에 따라 편의점주들은 아르바이트생 1.5명 고용시 올해 대비 대략 6~10% 가량의 이익감소가 있을 것"이라면서 "만약 고용인원이 2명이 될 경우 점주 이익 감소율은 10~18%로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 중구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사장 김진호(가명)씨는 "매출은 작년 대비 절반정도나 줄었는데 최저임금 인상 등 고정비용 상승으로 영업을 접을 판"이라면서 "대출로 적자를 메우고 있는데 누구를 위한 최저임금 인상인지 모르겠다"고 읍소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