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공장 멈췄다…가동률 2년 연속 저조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제조업 공장이 멈춰섰다.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8%로 같은 기간 기준으로 1998년(66.8%) 이후 가장 낮다. 이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2년 연속 저조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가동률 지수는 통상 생산량이 늘면 올라가지만 공장 기계나 설비 등 생산능력이 축소되면 생산이 늘지 않거나 소폭 줄어도 가동률이 개선될 수 있다.

제조업 가동률 지수(1∼9월)는 1998년 바닥(89.7)을 치고 이듬해 100.8으로 반등한 뒤에는 금융위기 때(2009년)를 제외하면 2015년까지 매년 100을 웃돌았다.이후 조선업 등 주요 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한 2016년에 100 밑으로 떨어진 뒤 지금까지 상승 반전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주로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과 자동차·트레일러 제조업 등에서 저조하다. 주력산업 성장 둔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구조조정으로 생산능력이 줄었음에도 생산이 미진한 탓에 가동률이 충분히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올해 1∼9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 하락했다.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71년 이후 첫 마이너스이다.

이러한 생산능력 부진은 최근 설비투자 침체가 주된 요인이다. 설비투자는 6개월 연속 내리막을 걷다가 9월 반등했지만 전년과 비교하면 20% 가까이 위축된 모습이다.

투자 부진으로 생산도 탄력을 받지 못하면서 가동률 발목을 잡고 있다. 올해 1∼9월 제조업 생산은 1년 전보다 1.5% 감소하면서 2009년(-5.6%)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기획재정부는 연내 발표를 목표로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한 중장기 산업구조 개편 작업을 벌이고 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