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s] 한뼘 한국사

한뼘 한국사(푸른역사)

한뼘 한국사(푸른역사)

원본보기 아이콘

젊은 역사학자들이 독립적으로 기획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해 만든 책이다. 필자 열세 명은 모두 1980년대 생으로 대학에서 한국사를 전공하는 박사과정·수료생이다.

촛불을 들며 국정 역사교과서에 반대했던 신진 연구자들은 2016년 1월 ‘만인만색연구자네트워크’를 창립하고, 새로운 플랫폼에서 더 많은 독자를 만나고자 했다. 이런 의도는 같은 해 여름 시작한 한 포털의 스토리펀딩 ‘한뼘 한국사: 교과서 뒤편의 역사’가 조회 수 수십만 회, 후원 325건, 모금 446만 원이라는 성과를 거두면서 첫 결실을 보았다. 여기 연재된 글들을 2년 동안 가다듬고 새로 두 편을 추가한 결과가 『한뼘 한국사: 한국사 밖의 한국사』다.“다른 학술서적과 달리 광장의 한복판에서 출발”(4쪽)한 이 책은 그동안 한국사 서술에서 배제되거나 소외되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한국사의 한복판으로 끌고 온다. 열세 주제는 모두 다른 시대, 다른 사람들의 역사를 다루지만 모두 권력과 역사의 관계성을 고민한 결과라는 공통점이 있다. 책의 구성도 연대기적 방식을 벗어나 새로운 역사담론의 방향에 맞춰 구성되었다.

1부는 ‘낮은 곳’에 있던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그려냈다. 조선시대 사람들의 이름 짓기, 1925년 예천사건과 백정, 현대사의 중산층 가족 도전기, 월남 파병 군인, 공장노동자 등 권력을 쥐지 못했던 사람들의 주변 환경과 삶의 궤적을 들춰낸다.

2부는 한국사에서 직접적으로 배제되고 ‘금기시’되었던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권력은 온전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여장남자, 수감자 가족, 무속인, 근친혼 등을 혹은 지우고 혹은 외면했다. 역사가 배제한 사람들을 새롭게 복원할 수 있는지, 우리는 또 누군가를 지워나가고 있는 건 아닌지 되돌아볼 수 있는 대목이다.3부는 ‘국경’의 안팎에서 살아갔던 사람들의 역사를 다룬다. 한국전쟁기 포로의 삶, 연변 조선인들의 조국관, 세종의 북방정책과 이주민, 낙랑군과 대방군 거주민의 이야기로 근대적 국경·국적 중심의 역사서술이 갖는 한계를 되집는다.

이 책은 모든 권력에 대한 역사학적 비판이다. 글 열세 편이 모두 개성이 강하다. 소재뿐 아니라 문장을 이끌어가는 힘과 분석방법, 역사학적 관점도 모두 다르다. 또한 새로운 역사서술의 대상과 방법론을 찾고 있다. 그렇기에 이 책은 매우 실험적이며 현재진행형의 역사 서술을 보여준다. 또한 학계 연구 성과와 대중의 역사인식이 어떻게 조우할 수 있는지 가늠자 역할을 한다.

(만인만색네트워크 엮음/푸른역사)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